K2 원정대 캠프Ⅱ까지 루트 개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K2(8천6백11m)
에서 발원한 고드윈오스틴빙하가 초고리사(7천6백65m)
에서 발토르빙하로 이름을 바꾸며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어 마블피크(6천2백38m)
사이로 뻗어나간다. 끝없이 펼쳐진 발토르 빙하의 웅장한 모습은 그림으로 그려내기 어려울만큼 신이 이곳을 찾는 산악인에게만 주는 또 하나의 선물이다.

중앙일보가 창간 35주년 기념으로 조인스닷컴·KBS·코오롱스포츠·파고다외국어학원·삼성전자와 공동으로 후원하는 한국 K2 원정대는 대원을 2개조로 편성해 본격적인 등반길에 나섰다.

하늘에 옅은 구름이 낀 가운데 12일 오전 11시(이하 한국시간·파키스탄시간 오전 7시)
캠프Ⅰ(6천3백m)
을 출발한 엄홍길(파고다외국어학원)
등반대장과 정하영(35)
·나관주(33)
·박무택(31)
대원의 A조는 6시간여만인 오후 5시30분께 캠프Ⅱ(6천9백m)
에 올라 좁은 공간을 깎아 텐트를 설치하는데 성공했다.

엄대장은 13일 캠프Ⅲ(7천5백m)
까지 루트개척을 하고 텐트를 설치한 다음 B조와 업무 인수인계를 하고 ABC로 하산할 계획이다.

한편 11일 유한규(코오롱스포츠)
원정대장의 지휘로 한왕룡·모상현대원과 한 팀을 이룬 B조는 캠프Ⅱ까지 루트개척과 함께 텐트 2동을 설치할 예정이었으니 심한 바람때문에 얼음만 조금 깎아내고 가져간 식량과 장비를 저장한 전진베이스캠프(5천4백M·이하 ABC)
로 하산했다.

캠프Ⅰ·Ⅱ는 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각국 원정대마다 텐트 설치활보로 눈에 보이지 않는 신경전을 보이고 있다.또한 경사 45도의 설사면을 피켈로 4∼5시간에 걸쳐 깎아내야 겨우 텐트를 칠 수 있는 공간마저도 없는 상황이다.

다행히 한국산악회 대구원정대(대장 김위영)
에서 이미 설치한 텐트를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를 해줘 당장의 어려움은 면했다.

원정대는 오는 20일까지 캠프Ⅲ에 모든 물자를 운반해 놓고 베이스캠프로 내려와 기력을 회복한 후 25일께 1차 정상등정에 나설 계획이다.

K2=김세준 기자<sjk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