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등판론, 대답 피한 박근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오른쪽)가 1일 국회에서 ‘국민 중심의 한국형 고용복지 모형 구축’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열고 복지정책을 발표했다. 이 행사에는 관련 정부 부처 실장들이 토론자로 참석했다. 박 전 대표가 축사를 마친 홍준표 대표와 인사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는 1일 “모든 것을 정치공학적으로 얘기하게 되면 국민들이 참 피곤해진다”고 말했다. 자신이 국회에서 연 ‘국민 중심의 한국형 고용복지 모형 구축’이란 주제의 세미나가 끝난 뒤 ‘대선 행보가 빨라지는 것 아니냐’ ‘박 전 대표의 조기 등판론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면서다.

 한나라당이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패배한 뒤 당에선 박 전 대표가 전면에 나서 당을 이끌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박 전 대표는 기자들에게 “지금 (고용과 복지가) 국민 한 분, 한 분에게 굉장히 절실한 문제들이고 정치란 그런 것을 해결하는 데 최우선을 둬야 한다”며 “자꾸 자기네들끼리 정치가 어떻고 그러면, 정치가 국민을 위해 존재하는 게 아닌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두고 홍준표 대표 체제를 허물고 당을 이끌 생각이 없다는 걸 밝힌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박 전 대표는 “이거(세미나)는 제가 몇 년 전부터 관심 갖고 실현하려 한 문제이기 때문에 (조기 등판 등) 그런 문제와 관계가 없다”며 “누가 하더라도 해야 하는 거고 우리나라에서 가장 시급한 문제”라는 말도 했다.

 세미나에선 “현장에서 국민이 겪는 아픔과 사연을 들어보면 지금 시스템으로는 문제가 많다”며 고용·복지 구상을 밝혔다. 다음은 박 전 대표 발언 요지.

 “변화된 시대에 맞게 성장과 복지가 선순환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그 핵심 고리가 고용·복지이고, 그 틀을 잘 짜는 게 이 시대의 중요한 사명이다. 거시지표보다 한 사람, 한 사람의 행복이 중요하다. 앞으로 고용률을 경제 정책의 중심 지표로 삼아야 한다. 근로능력이 있는 빈곤계층을 자활로 이끄는 것을 탈(脫)빈곤 대책의 기본 원칙으로 삼아야 한다. 제대로 된 고용·복지 시스템을 만들려면 다섯 가지 원칙이 필요하다. 첫째, 근로능력이 없는 국민의 생활은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 둘째, 일하고자 하는 국민이라면 일자리 얻는 데 필요한 실질적 지원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열심히 일하는 사람이 빈곤에 빠지는 일이 없어야 한다. 넷째, 복지·고용 정책의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모든 제도는 공급자 편의형에서 수요자 맞춤형으로 전환돼야 한다.”

 이어 주제 발표를 맡은 안종범(성균관대)·안상훈(서울대) 교수 등은 ▶차상위계층의 범위를 ‘중위소득 50%’로 확대(165만 명→296만 명) ▶기초생활보장제도 통합 급여체계를 ‘맞춤형 급여체계’로 개편(재정 2조2000억~4조2000억원 추가 소요)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박 전 대표는 차상위계층 주부와 베이비부머 세대인 50대, 지방대생과 사회복지사 등으로 구성된 ‘국민패널단’의 의견을 듣기도 했다. 행사장에는 보건복지부·기획재정부·고용노동부 실장들이 지정 토론자로 나왔다. 친이명박계 의원 10여 명을 포함, 한나라당 의원 50여 명도 세미나에 참석했다.

 한편 친박계 중진인 홍사덕 의원은 이날 박 전 대표의 조기 등판론을 주장하는 정몽준 전 대표를 향해 “지난 몇 달 사이 ‘딴지 걸기’ 비슷한 말씀을 여러 차례 했는데 참모 중 미국에서 폴리티컬 엔지니어링(정치공학), 이런 걸 헛공부하고 온 사람이 있지 않나 싶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내년 총선 때가 되면 이번 보궐선거 때 보듯 어차피 (박 전 대표가) 전면에 나서게 돼 있다”고 말했다.

백일현 기자

사진

이름

소속기관

생년

[現] 한나라당 국회의원(제18대)

1952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