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개발에 `박원순 불똥` 튀나

조인스랜드

입력

업데이트

[황정일기자]

26일 치러진 서울 시장 보궐선거 개표 결과 한나라당 나경원 후보가 승리한 곳은 25개 구 가운데 4개 구뿐이다.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구)와 용산구다. 강남 3구는 전통적으로 한나라당 우세 지역으로 선거 전부터 나 후보의 승리가 어느 정도 예견됐던 지역이다. 그런데 용산구의 행보가 눈에 띈다.

강북권에서는 유일하게 나 후보를 밀어줬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시장직을 걸고 나섰던 8월 무상급식 투표 때도 용산구의 투표율은 26.8%로 25개 구 가운데 강남 3구와 강동구에 이어 네번째로 높았다.

강북권에서는 유일하게 평균 투표율(25.7%)를 넘긴 지역이기도 하다. 야당의 주장하는 것처럼 ‘강남=한나라당’이라는 공식에 대입해 보면 이 같은 용산의 행보는 ‘新강남’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용산구의 민심이 이처럼 강남 3구와 행보를 같이 하는 이유는 뭘까. 전문가들은 오세훈 전 서울시장의 최대 수혜 지역인 때문이라고 풀이한다.

“대형 개발 사업 중단 쉽지 않을 듯”

실제로 오 전 시장이 역점 사업으로 추진했던 한강르네상스 등의 중심에는 늘 용산이 있었다. 용산역국제업무지구·민족공원 등도 오 전 시장 때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한남뉴타운이나 이촌전략정비구역도 오 전 시장의 작품이다. 용산구 입장에서는 시의 정권(?)이 바뀌는 게 반가울 리 없는 셈이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용산의 경우 시의 정권 교체에 크게 흔들릴 것 같지는 않다. 박 시장 추임으로 뉴타운이나 재개발·재건축 사업은 위축될 가능성인 높아졌지만 용산국제업무지구, 민족공원 개발, 한남뉴타운 등 용산의 핵심 개발 사업은 계획대로 진행될 것으로 보는 전문가들이 많다.

우선 용산국제업무지구의 경우 민자사업인 데다 착공까지 한 마당에 사업이 중단될 경우 사회·경제적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사업성 향상을 위해 그동안 시행자들이 요구해 온 용적률 상향의 경우 오 전 시장 역시 반대해 온 만큼 상황이 크게 달라질 게 없을 것 같다.

민족공원 경우 시의 사업이라기 보다는 국가적 사업인 데다 고층 빌딩을 짓는 게 아니고 녹지를 조성하는 사업인 만큼 사업 중단 등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한남뉴타운과 이촌전략정비구역이다. 어느 정도는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 박 시장은 출마 전부터 뉴타운 제도를 강하게 비판해 온 만큼 타격이 예상된다.

뉴타운 내 한 중개업소 사장은 “박 시장이 임대주택 수를 확 늘리는 등의 정책을 할 경우 사업성 저하로 속도가 더뎌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촌전략정비구역도 마찬가지다. 다만 이촌지구의 경우 다른 전략·유도정비구역과 달리 개별 개발 방식인 데다 상가 주인 등과의 문제로 지금도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어 뉴타운보다는 그나마 충격이 덜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역시 전략정비구역에 대한 인센티브를 낮추고 임대주택 공급을 늘릴 경우 사업이 아예 중단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본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