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간 리커창 “중, 한반도 비핵화 역할 지속”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리커창 중국 국무원 상무부총리(오른쪽)가 23일 평양공항에 도착, 강석주 북한 내각부총리의 안내를 받고 있다. 리 부총리는 23∼25일 북한을, 26∼27일 한국을 차례로 방문한다. 이번 남북한 연쇄 방문에서 리 부총리는 이명박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나 남북 관계 개선, 북핵 6자회담 재개 등을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평양 신화=연합뉴스]

리커창(李克强·이극강) 중국 국무원 상무부총리 겸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이 23일 오후 전용기 편으로 평양공항에 도착했다고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리 부총리는 도착 성명에서 “중국은 남북 및 북·미 관계 개선, 6자회담 재개를 위한 북한의 긍정적인 노력을 평가하며, 한반도의 비핵화 과정 진전에 건설적 역할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리 부총리는 25일까지 평양에 머물며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예방하고 북·중 경협 강화방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리 부총리는 25일 베이징으로 복귀했다가 26∼27일 한국을 방문해 이명박 대통령을 예방한다. 일각에선 리 부총리가 남북한 최고지도자를 잇따라 접촉한다는 점에서 6자회담 재개와 북핵 문제에 관한 북측의 메시지를 남측에 전하는 ‘메신저’ 역할을 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리 부총리가 최영림 내각 총리와 가진 담화에서 김정일위원장을 중국으로 초청한다는 후진타오(胡錦濤·호금도) 중국 국가주석의 뜻을 전했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5월과 8월 두 차례 방중했다.

 한편 북한과 미국은 24일(이하 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이틀간의 2차 고위급 대화를 한다. 미국 측 수석대표인 스티븐 보즈워스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23일 후임자인 글린 데이비스 국제원자력기구(IAEA) 미국대사와 입국했고,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과 이근 외무성 미국 국장 등 북한 대표단도 전날 제네바 국제공항으로 입국했다. 미국의 글린 데이비스 차기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이날 숙소 도착 직후 로비에서 기자들과 만나 ‘예비접촉을 하느냐’는 질문에 “오늘은 휴식을 취하려 한다”고만 답변했다. 외교 소식통은 “북·미 대표단이 시내 켐핀스키호텔에서 묵는다”며 “두 대표단이 한 호텔에 투숙한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회담기간 양측 간 비공식 접촉이 활발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미 협의차 제네바로 온 한국 외교통상부 실무진도 이 호텔에 머물 것으로 알려져 남북·미 3자 접촉 가능도 조심스레 점쳐진다. 24일 첫 회담은 제네바 주재 미국 대표부에서, 25일 회담은 북한대표부에서 열릴 것으로 알려졌다.

제네바=권호 기자 , [신화=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