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사저 경호 부지 줄이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서울시 강남구 내곡동에 있는 이명박 대통령의 사저 건립 예정 부지. 12일 현장에선 기존 건물을 허물고 터파기를 하는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김도훈 기자]


청와대가 12일 이명박 대통령이 퇴임 후 입주할 서울 내곡동 사저(私邸) 터의 경호 부지를 줄이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국가예산이 들어간 경호 부지의 경우 일부라도 다른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는 중”이라고 전했다.

 사저 터는 모두 9필지로 이 대통령 소유가 될 사저용 부지는 463㎡이고, 국가 소유(대통령실)인 경호 부지는 2143㎡다. 청와대 경호처는 “원소유주가 일부만 팔 경우 남은 땅이 접근 도로가 없는 맹지(盲地)가 될 것을 우려해 팔지 않겠다고 해 통째로 산 것”이라고 해명해 왔다. 그러나 전체 면적이, 그중에서도 특히 경호부지가 김영삼 대통령 이래 최대인 게 여론의 비판을 불렀다. 한나라당 홍준표 대표가 “사저 자체는 (이 대통령의) 사비로 짓기에 문제가 될 게 없다. 다만 세금이 들어가는 경호동 문제는 대폭 축소하도록 청와대에 요청을 했다”고 한 건 이런 이유에서다. 청와대에선 경호 부지 일부를 경호처 이외의 국가 시설로 활용하는 계획을 검토 중이다. 접근 도로 문제 때문에 경호 부지의 일부만 파는 게 어려울 수도 있다는 판단에서다.

 민주당은 12일에도 공세를 취했다. 손학규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대통령이 국민의 마음을 알아주고 위로해 줘야 하는데 위로는커녕 피 맺히고 멍 맺힌 가슴을 또 찔러서 안타깝다”고 했다. 이 대통령의 형인 한나라당 이상득 의원이 소유한 토지에 대해서도 의혹을 제기했다. 김유정 원내대변인은 “이상득 의원도 내곡동의 땅(62-18~20, 36~38번지 6개 필지 1458㎡)을 보유하고 있다니 국민적 의혹은 커져만 간다”며 “(한나라당이) 노무현 대통령 사저에 대한 아방궁 발언을 취소하고 사과부터 하는 것이 최소한의 도리”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경호부지를 공시지가(10억9385만원)보다 네 배 이상 비싸게 샀다(42억8000만원)”는 주장도 쟁점화한다. 정세균 최고위원은 “국민 세금을 도둑질한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청와대 경호처는 “경호부지는 대부분 밭(1914㎡)이어서 공시지가는 (대지로 분류된 사저용 부지보다) 낮게 책정돼 있으나 실거래가는 대지와 인접해 대지의 70~80% 수준”이라고 반박했다. 실제 사저용 부지는 3.3㎡당 800만원, 경호 부지는 600만원 정도에 거래됐다는 거다.

 민주당이 “사저 땅값(11억2000만원)은 부지 내에 있던 한정식집의 주택공시가격 (4억6800만원)을 합하면 공시지가보다도 싸다”고도 주장한 대목은 사실과 거리가 있다. 주택공시가격에 이미 땅값과 건물값이 합산돼 있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 민주당 주장은 땅값을 이중으로 더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민주당 박기춘 의원은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경기도 이천에 있는 중부고속도로 남이천 나들목(IC)사업이 지난해 8월 허가가 났다”며 “남이천 나들목에서 직선거리로 2㎞ 지점에 이 대통령의 선영과 형님 일가 소유의 ‘영일울릉목장’이 있 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상득 의원은 "기존 서이천 나들목에서 선영까지는 7㎞지만 남이천 나들목을 통하면 15㎞로 더 멀다”며 "1년에 두 번 선영에 가는데 나들목을 만들었다면 나라가 망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워싱턴=고정애 기자, 서울=강기헌 기자
사진=김도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