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대적 M&A·자사주 매입, 새로운 테마 부각 가능성

중앙일보

입력

M&A 테마의 부각, 증시 수급개선의 기폭제

최근 주식시장은 만성적인 증시수급 불균형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게다가 지난 5월18일 새한그룹의 워크아웃을 시작으로 영남종금의 영업정지와 현대건설에 대한 긴급자금 지원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유동성 위기로 인해 침체국면을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뚜렷한 주도주가 형성되지 못하고 있는 현 약세국면에서 새로운 테마로의 부각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M&A(인수·합병)는 그 자체적인 의미 뿐만 아니라 시장 전체적으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최근 M&A를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논의들이 법제화되고 보다 구체화된다면 수급상의 불리함을 안고 있는 주식시장은 커다란 도움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5일 이근경 재정경제부 차관보는 '금융위기 긴급진단' 좌담회에 참석, "다수의 주주가 참여하는 펀드로 부실기업을 사들여 정상화시킨 뒤 주가를 올릴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적대적 M&A를 활성화하는데 걸림돌로 작용하는 제반 법령과 제도를 전면 개선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주주를 경시하거나 부실한 경영을 유지해온 경영진에 대해 일침을 가하는 동시에 보다 신속한 구조조정을 일끌어내 침체된 증시에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가 증권거래법, 투자신탁업법, 공정거래법, 상법 등 M&A와 관련해 상충되는 법률과 관련조항을 정비하는 등 추가적인 M&A 활성화 방안을 마련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M&A가 향후 증시의 핵심테마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 할 수 있다.

현재 M&A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문제점들을 살펴보면, 먼저 동일기업에 대한 기관투자가의 주식보유 한도는 몇 단계에 걸쳐 제한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즉, 한국투신과 대한투신 등 단일 기관에서는 특정기업 발행주식 총수의 20% 이상을 소유할 수 없고 펀드별로는 특정기업 순자산 총액의 10% 이상을 가질 수 없다. 또한 특정기업 주식의 5% 이상 대량 보유시 감독기관에 대한 보고 및 신고의무도 있다.

적대적 M&A를 활성화시키려면 이같은 부분들에 대한 제도 개선이 불가피하다. 가령 하나의 펀드에서 단일 주식만으로 100%를 채울 수 있는 사모펀드의 도입을 고려해 볼 수있다. 사모펀드는 M&A 수단으로는 최상의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투신권의 강력한 요구가 이어지는 가운데 그 허용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자사주매입 관련주에 관심 가져야

작년 이후 거래소 상장기업들 뿐만 아니라 코스닥기업들도 유상증자 등을 통해 많은 자금을 증권시장으로부터 조달했다. 이같은 자금은 대부분 사업확장이나 새로운 사업으로의 진출에 이용되지만, 최근 증시침체로 인해 상당수 기업들의 주가가 청산가치 이하로 하락함에 따라 적대적 M&A나 경영권 방어에 쓰일 자금으로의 유입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현 시점에서 자금여력이 없는 기업들은 자사의 경영권 방어에 소극적인 대응을 할 수 밖에 없지만, 현금 보유고가 풍부한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자사주 매입을 통해 경영권을 방어하려는 전략을 선호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올해 들어 증시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주가방어를 위해 자사주를 매입하겠다고 밝힌 상장사들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17일까지 상장법인들의 자사주 공시건수는 1백7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동안의 17건에 비해 10배 이상 늘어났다. 공시금액은 3조1천2백28억원으로 금액규모로는 무려 39배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코스닥시장에서도 올들어 지난 5월25일까지 자사주 매입공시는 46건, 규모면에서는 1천8백29억원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향후 주식시장에서는 M&A 테마의 부각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며, 1차적으로는 낙폭과대에 따른 가격메리트가 자사주 매입이라는 수급개선효과로 이어질 수 있는 기업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

동양증권 투자전략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