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 8월 18일 ~ 신(新)러시아 탄생 그 후 20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1991년 8월 18일 공산당 보수파가 쿠데타를 일으키자 이튿날 보리스 옐친 당시 소련 산하 러시아공화국 대통령이 모스크바의 러시아공화국 의사당 앞에 배치돼 있던 진압군 탱크 포탑 위에 올라가 국민에게 쿠데타에 맞설 것을 촉구하고 있다. [중앙포토]


모스크바 크렘린궁에 있는 블라디미르 푸틴(Vladimir Putin·59) 총리의 집무실에는 표트르 대제(Pyotr I·1672~1725)의 초상화가 걸려 있다. 표트르는 ‘강한 러시아’를 위해 부국강병 정책을 추구했던 차르(czar·황제)다. 러시아를 유라시아 두 대륙의 강대국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로 쌍두 독수리 문장을 채택한 인물이다. 상트페테르부르크(표트르의 도시라는 뜻으로 그가 건설했다) 출신인 푸틴은 표트르 대제를 닮으려고 애쓰고 있다.

 그런 푸틴 총리가 지난 1일 “미국은 세계 경제에 기생충 같은 존재”라고 말했다. 푸틴은 전날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과 의회 지도자들이 연방정부 부채상한 증액 협상을 타결하자 “미국이 엄청난 부채를 쌓아가면서 전 세계 금융을 위협하고 있다”며 독설을 퍼부었다. 러시아 지도자가 미국을 이토록 원색적으로 비난한 것은 과거 냉전시대 소련에서도 드문 일이다.

 푸틴이 이처럼 큰소리를 칠 수 있는 배경은 러시아의 신장된 국력이다. 러시아의 명목 GDP는 1조4650억 달러로 세계 11위다(2010년 국제통화기금 자료). 스페인(1조4099억 달러), 호주(1조2355억 달러), 멕시코(1조392억 달러), 한국(1조70억 달러) 등이 뒤를 따르고 있다. 1인당 명목 GDP는 1만440달러로 세계 40위다(세계은행 2010년 기준).


 공산국가 소련이 1991년 8월 무너지고 민주국가인 신러시아가 탄생한 지 이달로 20주년을 맞는다. 오랜 공산통치로 인한 무능과 비효율로 가난하고 힘없는 나라로 재출발했던 러시아는 20년이 지난 지금 강대국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 중심에는 푸틴(2000~2008년 대통령 연임 뒤 현재 총리)의 리더십이 있다.

  급속한 시장경제 도입에 따른 혼란을 겪었던 초대 러시아 대통령 보리스 옐친은 99년 말 국가보안위원회(KGB) 출신의 블라디미르 푸틴 총리를 대통령 대행으로 임명한 뒤 물러났다. 푸틴은 ‘안정’과 ‘대국 재건’을 기치로 내걸고 강국 러시아 복원 정책을 강하게 밀어붙였다. 그는 국력 강화에 자원을 최대한 활용했다. 러시아는 현재 석유와 가스를 비롯한 에너지와 광물을 앞세운 자원외교로 국제사회의 강자로 자리 잡고 있다. 88년 소련 시절 세계 최대 산유국이었던 러시아는 소련 붕괴 뒤 석유 생산량이 8위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푸틴 집권 뒤 석유생산량 1위, 천연가스 생산량·매장량 1위(2010년 기준)로 다시 올라섰다. 러시아의 에너지 수출은 2573억 달러(275조원)로 수출 총액의 3분의 2에 이른다. 푸틴은 전 세계 천연 가스 생산량의 20%를 차지하고 있는 민영기업 가즈프롬을 2004년 국유화했다. 그가 ‘에너지 차르’로 불리는 이유다. 푸틴 집권 후 경제성장률은 매년 4% 이상(2009년 제외)을 기록했다.

 최근 들어선 이라크전·리비아전과 관련, 미국과 서유럽에 대항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러시아는 2014년 소치 겨울올림픽과 2018년 FIFA 월드컵까지 유치했다. 군사적으로는 신형대륙간탄도탄(ICBM) 블라바를 개발하며 핵 보유국 지위를 강조하고 있다. 그 결과 러시아는 21세기 들어 국력과 함께 과거의 자신감까지 회복했다.

 하지만 푸틴의 강권 리더십 이면의 그늘에 대한 우려도 있다. 미하일 고르바초프(Mikhail Gorbachev·80) 전 소련 대통령은 “푸틴이 이끄는 통일러시아당은 소련공산당을 연상시킨다. 푸틴은 러시아의 역사를 거꾸로 돌려 놓으려 한다”며 거세게 비판했다. 언론 탄압과 빈부 격차 때문이다.

임현주 기자

◆신(新)러시아=1991년 8월 소련 공산당 보수파의 쿠데타(8월 18~21일)가 국민 저항으로 실패하면서 공산체제가 무너지고 민주국가로 재탄생한 러시아를 가리킨다. 초대 대통령이었던 보리스 옐친은 체제와 사상의 혼란 속에 혼돈의 시대를 보냈고, 2000년 취임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강력한 리더십으로 자원외교를 강화하고 국가 위상을 높이면서 안정기를 맞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