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5회 삼성화재배 월드바둑마스터스] 허영호, 고통은 끝이 없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5면

<결승 3국>
○·허영호 8단 ●·구리 9단

제5보(40~49)=흑▲로 달리자 40으로 뚫었다. 40의 돌파에는 위쪽 백 6점이 넝마 조각처럼 변한 데 대한 분노가 담겨있다. 백이 막으면 끊어서 일단 귀를 접수한다는 결의가 느껴진다. 하지만 구리 9단은 노련하게 41로 방향을 튼다. 41로 급소를 짚어 두면 흑▲ 쪽의 안전이 확보되고 이쪽이 안전해지면 위쪽 백을 곧장 잡으러 갈 수 있다. 가령 백이 ‘참고도’처럼 귀를 접수하면 흑은 2로 위쪽 백의 허리를 잘라 버린다. 다 죽으면 피해가 너무 크다. 귀 가지고는 타산을 맞출 수 없다.

 허영호 8단이 42로 둔 것은 두 집을 내고 살겠다는 것. 잘못된 지난날을 반성하고 목숨이라도 부지하겠다는 것. 바둑판은 아직 넓으니 고통과 인내 속에서 기회를 보겠다는 것. 구리 9단은 비로소 43으로 귀환한다. 개선장군처럼 돌아온 43. 이 수에 대해 백이 A로 끊을 수만 있다면 형세를 크게 비관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A는 무리고 겨우 B로 막아 사는 정도인데 그건 위쪽에서 본 피해와 굴욕에 비하면 너무 작은 대가다. 폐석 같은 돌을 44로 움직인 것, 즉 40과 44의 언밸런스는 허영호가 이 장면에서 얼마나 갈등하고 있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47, 49는 두터운 포위. 구리 9단은 대마의 삶을 강요하며 국면을 정돈하기 시작한다.

박치문 전문기자

▶ [바둑] 기사 더 보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