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기간에도 자동차 등 대형화, 고급화 추세 여전

중앙일보

입력

국제통화기금(IMF) 체제 때인 98년에도 승용차및 가전제품의 대형화, 고급화 추세는 여전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2일 산업자원부가 밝힌 `99년도 에너지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1500㏄미만 승용차의 98년 연료 소비량은 95년에 비해 4.4% 줄어든 반면 2000㏄이상, 1500∼1999㏄승용차의 98년 연료소비량은 95년에 비해 각각 55.3%, 43% 증가했다.

산자부는 1500㏄ 이상 중대형 승용차의 연료 소비량이 크게 늘어난 것은 차량대수가 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에어컨 보유율도 95년의 15.2%에서 98년에는 19.8%로 늘었으며 룸에어컨 용량도 95년의 10.4평에서 98년에는 10.6평으로 증가했다. 개인용 컴퓨터 보유율은 95년의 37.7%에서 98년에는 50.9%로 무려 13.2% 포인트가 뛰었다.

택시의 중형화, 버스의 고급화 등으로 수송인원 1인당 에너지 소비량은 택시의 경우 95년의 0.51ℓ에서 98년에는 0.58ℓ로, 시외버스도 95년의 1.08ℓ에서 98년에는 1.39ℓ로 늘었다.

그러나 서민층의 소비 자제로 1500㏄ 미만 승용차의 98년 1대당 연료소비량은 1천138ℓ로 95년의 1천459ℓ에 비해 321ℓ가 줄었으며 자가용 차량 주평균 운행일수도 95년의 6일에서 98년에는 5.7일로 다소 감소했다.

1500㏄ 미만 승용차의 연간주행거리도 95년의 1만8천100㎞에서 98년에는 1만3천800㎞로 하락했다.

이와함께 연료가격이 상대적으로 싼 액화석유가스(LPG) 차량 등록대수도 95년의31만3천대에서 98년에는 49만3천대로 늘었으며 자동차용 LPG 소비량도 95년 11만1천TOE(석유환산톤)에서 98년에는 40만5천TOE로 증가했다.

특히 외환위기 여파에 따른 소득감소로 가구당 에너지 소비량은 95년의 1천652만1천㎉에서 98년에는 1천185만1천㎉로 16.3% 감소했다.

이밖에 아파트와 병원은 IMF 영향으로 98년 소비량이 95년에 비해 14.5% 정도 줄어든 반면 업무용과 상업용 빌딩은 업무시간 증가등으로 인해 에너지 소비량이 오히려 15% 정도 늘어났다.

(서울=연합뉴스) 인교준기자 kjihn@yonhapnews.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