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립PC 100만원 정도면 쓸 만

중앙일보

입력

그동안 '암호표' 같은 컴퓨터 용어 읽는 법 공부하시느라 고생이 많았습니다. 오늘은 그동안의 기사를 바탕으로 어떤 컴퓨터를 사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초보가 컴퓨터를 살 때는 무엇보다 욕심을 버려야 합니다. 초보 운전자가 최신형 스포츠카를 뽑을 이유가 없는 것처럼요. CPU(중앙처리장치)는 언제든지 필요하다고 느껴질 때 업그레이드하면 됩니다.

시중에 나와 있는 컴퓨터의 종류는 정말 무지무지하게 많습니다. 이 가운데 대기업 제품들은 구입하기 쉽고 애프터서비스도 잘 되지만 값이 비쌉니다. 용산 전자상가 등에서 조립해서 쓴다면 17인치 모니터를 포함해 1백만원 정도로도 쓸만한 물건을 맞출 수 있습니다.

◇ 편리한만큼 비싼 대기업PC〓인터넷PC를 포함한 대기업 제품에는 개발과 조립비, 배달비, 소프트웨어값, 그리고 앞으로의 애프터서비스(AS) 비용까지 포함되기 때문에 비쌀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고 바가지라는 뜻은 아닙니다.

서비스를 받으려면 당연히 비용을 치러야지요. 일부 업체는 본체 안의 부품을 값싼 것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가격을 낮추기도 합니다. 그러나 초보에게 전화 한통으로 각종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건 큰 매력이지요. 게다가 신용카드를 쓰거나 각종 할부를 이용해 목돈 안들이고 컴퓨터를 살 수 있다는 것도 장점입니다.

필자는 어떤 PC를 사야하느냐는 초보자의 질문에 "그냥 인터넷PC 싼 걸로 사세요" 하고 대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쓰다가 사소한 문제라도 발생하면 초보는 조치할 방법이 막막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대기업 제품은 원하는 사양의 제품을 선택하기가 어렵다는 게 문제점으로 지적됩니다. 15인치 모니터 포함, 1백만원쯤 하는 셀러론급 인터넷PC의 경우 CPU를 제외한 다른 부품들의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쓸만한 그래픽카드(VGA)와 충분한 하드 용량을 갖춘 제품을 찾다보면 CPU가 펜티엄Ⅲ급으로 올라가 17인치 모니터를 포함한 가격이 최소 1백50만원, 비싼 건 2백만원을 훌쩍 넘어버리기 일쑤입니다.

◇ 비용 줄일 수 있는 조립PC〓앞으로 컴퓨터에 대해 공부도 하고, 직접 AS를 받으러 찾아다닐 각오가 있다면 조립PC를 권합니다.

쓰면서 하나하나 배워보면 "컴퓨터도 별게 아니구나" 하는 생각이 들겁니다.

일단 DFI BX보드에 셀러론 466과 램 64메가 정도가 기본입니다. 하드는 5400RPM짜리 15기가 정도, 그래픽카드는 새비지4칩을 사용한 제품이면 됩니다.

모니터는 저가형이라도 17인치 이상을 선택하는 편이 좋습니다. 여기에 사운드카드.모뎀.케이스.스피커 등을 추가하면 1백만원선에서 조립이 가능합니다.

용량이 10기가도 안되는 하드와 리바128이나 블레이드3D 같은 철 지난 VGA를 사용한 저가형 인터넷PC보다도 값이 싼 것이지요. 단 인터넷PC는 전화 한통으로 AS를 받을 수 있으며 윈도를 비롯한 각종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셀러론급 인터넷PC라도 초보가 사용하기에 큰 불편은 없습니다.

좀더 나은 성능을 원하신다면 VGA는 부두3 2000이나 리바 TNT2 M64등을 선택하고 램은 1백28메가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모니터도 17인치 평면형이나 19인치로 바꿀 수 있습니다. 하드도 7200RPM의 20기가 제품으로 늘리는 게 좋습니다.

◇ 조립은 어떻게〓서울 용산이나 테크노마트 전자상가의 컴퓨터 상점에서는 2만원 정도만 주면 조립을 대신해 줍니다.

각종 부품만 원하는 사양으로 적어가서 선택하면 됩니다.

문제는 소프트웨어를 구하고 설치하는 겁니다. 컴퓨터 사용에 필수적인 윈도 같은 프로그램은 도매 값으로 산다고 해도 10만원이 넘습니다.

대기업 제품에 번들로 제공되는 백신.워드프로세서 등 각종 유틸리티를 개인이 직접 사려면 역시 10만원 이상 듭니다.

다행히 요즘은 공짜로 쓸 수 있는 셰어웨어.프리웨어 등도 많이 있으며 성능도 좋습니다. 한글 등의 워드프로세서만 1만원에 사면 당장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습니다.

다만 윈도는 공짜가 없습니다. '윈도98SE' 나 '윈도2000' 으로 업그레이드한 사람들로부터 '윈도98' 을 구하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윈도만 준비되면 나머지 통신이나 백신 같은 소프트웨어는 인터넷.PC통신에서 내려받거나 조립할때 설치를 부탁하면 됩니다.

김창우 기자

중앙일보 기자포럼(http://club.joins.com/club/jforum_kcw)에 오시면 더욱 자세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