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5회 삼성화재배 월드바둑마스터스] 바둑은 휘젓는 맛에 둔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5면

<결승 2국> ○·허영호 8단 ●·구리 9단

제9보(95~108)=우세한 바둑을 이겨내는 것은 불리한 바둑을 역전시키는 것만큼이나 어렵다. 바둑의 50% 정도는 역전승이기 때문이다. 백△로 차단하자 바로 싸우기 어렵다고 본 구리 9단은 95쪽으로 우회한다. ‘참고도’ 백1로 받으라는 것이다. 물론 이렇게 집을 지어도 백은 못 둘 게 없다. 하지만 상변 쪽의 무궁한 발전성을 한 방에 소멸시키는 게 너무 아깝다. 허영호 8단은 지금 화살이 여러 개다. 어떤 화살을 잡느냐. 허영호는 96, 98을 들고 나왔다. 꽃이 활짝 피어나듯 화려한 수법. 평소 허영호의 이미지와는 영 다르게 느껴지는 적극 전법이다. 오늘은 승부를 떠나 뭔가를 보여주기로 작심하고 두고 있다는 느낌이 강하게 다가온다.

 그렇다. 바둑이란 휘젓는 맛에 둔다. 구리 같은 고수를 상대로 맘껏 휘젓는다는 게 얼마나 통쾌한가. 승부의 집착을 버리면 이렇게 자유로워진다. 바둑 10결에 적힌 대로 돌을 맘껏 버릴 수도 있다. 107에 이르러 백 두 점은 거의 사망했다. 어찌 보면 잡았던 돌(흑▲)에 거꾸로 잡혔으니 타격이 크다 생각하겠지만 백은 상변의 품을 크게 넓히고 있다. 허영호의 손바람에 휘말린 구리 9단은 108을 바라보며 이를 깨물고 있다. 이대로 가면 그냥 진다. 결단을 내려야 할 시간이 다가오고 있었다.

박치문 전문기자

▶ [바둑] 기사 더 보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