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바이오산업 단지] 송도 아파트값 들썩 … ‘삼성 효과’ 톡톡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3면

인천 송도가 또 다시 들썩이고 있다. 삼성그룹이 송도국제도시 5공구에 2020년까지 2조원을 들여 27만 4000㎡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시설과 바이오시밀러 R&D 시설을 건립키로 인천시와 입주협약을 체결하면서부터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송도 일대 아파트 단지의 경우 호가가 5000만원 정도 오르면서 ‘삼성특수’를 톡톡히 봤다.

주변 상가 분양 물량도 삼성 발표 이후, 2배 이상 문의가 급증하고 인근 모델하우스에도 방문객이 인산인해를 이뤘다는 풍문이다. 특히 바이오단지의 조성이 구체화되면 점진적으로 집값 상승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란 분석도 많다.

한 부동산 업체 관계자는 “문의하는 사람들의 상당수가 바이오단지가 조성된 후의 부동산 가치를 많이 묻는다”고 말했다.

여기에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국내외 유수 바이오 제약업체를 추가로 유치해 입주기업 간 경쟁과 시너지를 통해 송도를 바이오산업의 메카로 만들겠다’고 밝힌 것도 한몫했다.

글로벌 기업 진출도 눈에 띈다. 지난해 10월 미국 시스코는 차세대 주력 업종인 ‘S+CC(스마트 커넥티드 커뮤니티)’ 분야의 본부 ‘글로벌R&D센터’를 설립하기로 협약을 체결했다. 미국의 대표적 글로벌 기업 중 하나인 존슨앤존슨은 송도에 진출한 네덜란드 종합백신회사 ‘크루셀’ 인수를 통해 송도국제도시 내에 ‘메디컬바이스트레이닝센터’를 세울 계획이다.

문제는 경제자유구역이란 이름에 걸맞지 않는 각종 규제들이다. 국내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등 제도적인 지원이 미흡한 것도 문제다. 게다가 수도권정비계획법, 국내 대기업 진입 제한 규정 등 이중 규제를 받고 있기도 하다. ‘성장관리권역’으로 묶여 국내 대기업 공장의 제한적인 증설만 가능하고 공장총량제가 적용돼 대기업 입주가 사실상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경제자유구역특별법 개정을 통해 수도권정비계획법 적용을 받는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족쇄를 풀고 외국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인센티브 혜택도 뒤따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최모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