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일 셰일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215호 33면

1905년 러일전쟁에 이겨 만주의 지배권을 확보한 일본은 대륙의 자원 개발에 열을 올린다. 그중에서도 선양(瀋陽)에서 북동쪽으로 50㎞ 떨어진 푸순(撫順) 탄광이 유명하다. 이곳에서 1909년 ‘타는 돌’이 발견된다. 석유 성분을 머금은 암석인 오일 셰일(oil shale)이었다.

남윤호의 시장 헤집기

연료 확보에 혈안이던 해군과 탄광 소유주인 남만주철도(만테쓰)는 오랜 연구 끝에 효율적인 정제기술을 개발했다. 1930년엔 정제공장을 세워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했다. 제2차 세계대전 중 하루 1만 배럴의 석유를 생산했다.

품질은 의외로 좋았다. 특히 디젤유는 일본 해군의 잠수함 연료로 쓰였다. 1941년 12월 진주만 기습에 참가한 일본 잠수함들이 그 기름을 사용했다. 종전 후 푸순을 접수한 중국군은 일본 기술자들에게 정제법을 배워 계속 석유를 생산했다. 1950년 한국전쟁 땐 압록강을 넘어 침공해 온 중공군에 푸순제 연료가 보급됐다. 이 시설은 지금도 가동되고 있다.

원래 오일 셰일의 정제는 1838년 프랑스에서 시작됐다. 하지만 오일 셰일에서 연료를 대량 추출하기 시작한 것은 푸순의 정제시설이 처음이라고 한다.

이처럼 석유는 액체로만 존재하는 게 아니다. 오일 셰일 이외에 오일 샌드도 있다. 기름 성분이 들러붙어 있는 모래다. 증기로 가열하면 기름을 뽑아낼 수 있다. 이런 걸 ‘비재래형 석유’라 하는데, 그 매장량이 많다고만 할 뿐 얼마인지 확실치 않다. 21세기 들어서도 석유고갈론이 큰 힘을 얻지 못하는 이유다.

석유고갈론의 대표주자는 영국의 지질학자 콜린 캠벨이다. 그는 98년 ‘석유 생산은 2004년 피크에 이른 뒤 감소할 것’이라는 충격적인 예측을 내놨다. 이 주장은 곧 비판에 직면한다. 석유 가채매장량이 자꾸 늘었기 때문이다.

2000년 말 미국지질조사소(USGS)는 이미 써 버린 석유가 1조 배럴, 앞으로 쓸 수 있는 양이 2조 배럴이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인류가 사용할 수 있는 석유량은 67년분으로 계산된다. 하지만 이 또한 비재래형 석유를 뺀 수치다. 오일 셰일의 매장량에 대해선 설이 엇갈리는데, 학자들 사이의 중간값은 1조9700억 배럴이다. 이것만 해도 60년분을 넘는다. 이보다 더 많다는 오일 샌드까지 합치면 석유의 양은 180년분을 훌쩍 넘는다.

가채매장량이 고무줄처럼 늘어난 것은 기술 발전 덕분도 있지만 고유가의 영향이 더 크다. 기름값이 비싸지자 저유가 시절엔 채산이 안 맞던 유전도 가동하게 됐다. 또 값비싼 비재래형 석유를 개발할 유인도 생겼다. 고유가가 석유 고갈에 대한 공포를 되레 완화시켜 준 것이다.

따라서 석유 고갈에 대해 너무 비관하거나 낙관할 필요는 없다. 다만 비재래형 석유의 등장은 ‘저유가 시대의 종언’을 확인시켜 준다. 꽤 비싼 석유를 오래 쓸 수 있는, 반영구적 고유가 시대가 시작됐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기름값 몇십원 억지로 끌어내려 봤자 큰 도움이 안 된다. 그러느라 쏟을 힘을 좀 더 효율적인 데 쓰자는 말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