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들 주민 정보화 팔 걷어부치다

중앙일보

입력

''지역주민의 정보화 없이는 지역발전의 미래도 없다 - ''

지방자치단체들이 시민들의 컴맹.넷맹 퇴치를 위해 발벗고 나섰다.

주민들의 정보활용 능력을 높이기 위해 PC방 인터넷교육을 추진하는가 하면 1인 1E메일 갖기 운동도 펼친다.
또 정보화의 맹아가 되기 쉬운 농민들을 위한 무료교육도 실시된다.

전주시는 ''2000년 정보화 선진도시로의 진입'' 을 목표로 내걸고 올해 대대적인 범시민 정보화 운동을 전개하기로 했다.

시내 2백여개의 PC방과 협력체계를 구축, 다음달부터 시민들에게 인터넷 사용법, 정보검색 등에 관한 무료 교육을 실시할 방침이다.

이달 중 한국통신, PC방 협회와 ''시민정보화 교육 협정'' 를 맺고 1만5천여명의 교육희망자를 신청받기로 했다.

전주시는 또 지난해 2월 완산구 중노송동에 문을 연 소프트웨어 지원센터 안의 인터넷 카페를 활성화시켜 현재 월평균 3백여명인 이용자 수를 1천명 이상으로 늘리기로 했다.
전국 규모의 ''인터넷 사냥대회'' 도 열어 정보화 열기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공무원 1천3백여명 전원에게 E메일 아이디를 부여한 익산시는 올해 전자결제를 도입하는 한편 시민들과의 정보교환 시스템도 구축키로 했다.
또 모든 동사무소에 인터넷 카페를 개설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농어민 후계자 1백여명을 대상으로 농업정보 수집.활용할 수 있게 PC통신과 인터넷 사용법과 문서편집 등을 가르쳐주기로 했다.

시청 안에 전산교육장을 마련한 군산시는 주부와 영세사업자, 도서지역 학생들을 대상으로 컴퓨터 기본과 인터넷 활용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 오는 9월까지 5백평 크기의 정보화센터를 세워 컴퓨터교육과 벤처기업의 전진기지 활용하고, 전시민 1인 1E메일 갖기 캠페인도 펼치기로 했다.

전북도 이승우 (李升雨) 기획관리실장은 "이제는 주민들의 일상생활에도 컴퓨터가 필수적이다.
지역사회가 낙오되지 않으려면 지자체가 정보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사회 분위기 조성은 물론 주민 교육에도 직접 나서 뛰어야 한다" 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