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긋지긋 요통, 이대로 두면 허리디스크 된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요즘 요통에는 나이가 없는 것 같다. 과거에는 나이가 지긋한 장년층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허리디스크가 젊은 직장인들 사이에서도 쉽게 발견되기 때문이다.

이들은 주로 컴퓨터 앞에 장시간 움직이지 않고 앉아있으며, 가끔은 바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해 척추에 무리를 주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허리디스크가 쉽게 발병되는 것이다.

직장인들이 허리디스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무실 내에서 자주 움직여야 한다. 그러나 자주 이동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라면 간단한 스트레칭을 통해 예방이 가능하다. 장시간 앉아있어 몸이 찌뿌둥 할 때에는 기지개를 한 번 켜주면 되며, 틈틈이 허리, 목, 손목, 발목 등의 관절을 돌려 풀어주면 된다. 또한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퇴근 이후 남는 시간에는 허리디스크 예방 운동을 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허리디스크 예방 운동으로는 엎드려서 팔 뻗어 상체 일으키기, 무릎 꿇고 고양이, 낙타 등 만들기, 엎드려서 한 발 위로 들기, 볼에 누워 온몸 늘어뜨리기 등이 있다.

또한 척추를 강화시키는 운동으로는 누워서 한 무릎 잡고 가슴 당기기, 무릎 꿇고 고양이, 낙타 등 만들기, 누워서 상체 들어 올리기, 누워서 엉덩이 들기가 있으며, 이 때 피해야 하는 운동은 웨이트 트레이닝과 같은 지나치게 무게가 가해지는 운동이다.

홍익신경외과의 남천현 원장은 “젊은 직장인들은 아직 노화가 심화되어 진행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간단한 스트레칭 및 운동을 통해서 허리디스크를 극복해낼 수 있다. 안내한 운동방법을 꾸준히 하게 되면 허리디스크 예방은 물론 척추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전했다.

그러나 만약 허리디스크가 진행 중 이라면 치료를 진행해야 하는데, 약물 치료, 물리 치료, 운동 치료 등과 같은 보존적 치료가 효과를 보인다면 보존적 치료를 꾸준히 해야 하며 약물치료와 물리치료 혹은 운동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다. 혹시 상태가 심화되어 보존적 치료가 효과를 보이지 않는다면 비수술적 치료 혹은 수술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 어떤 치료가 스스로에게 적합할지는 전문병원에 내원해 전문의와 상의해야 한다.

이어 성남(분당)의 허리디스크전문 홍익신경외과의 남천현 원장은 “보다 건강한 척추를 위해서는 꾸준히 가벼운 스트레칭 및 운동을 해 주는 것과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등산이나 자전거 타기도 허리 근육 강화에 도움이 되니 시간이 날 때마다 틈틈이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요툥을 느낄 때에는 반드시 척추 전문 병원에 내원해 보다 정밀한 진찰을 받도록 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 기사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르며, 해당기관에서 제공한 보도 자료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