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무원, 'GMO 시비' 위기를 기회로 활용

중앙일보

입력

풀무원이 유전자변형 식품 논쟁에 따른 위기를 오히려 수익사업을 확대하는 기회로 활용하는 기막힌 수완을 발휘하고 있다.

지난달 3일 한국소비자보호원이 "시판중인 두부의 82%에서 유전자변형(GM) 콩성분이 검출됐다"고 발표하면서 풀무원은 두부 매출이 30% 급감하고 유기농산물 생산업체로서의 이미지가 실추되는 막대한 타격을 입었다.

소비자들로부터 항의전화가 쇄도하기도 했다.

그런 '난리' 속에서 풀무원은 지난달 18일 '분석법이 잘못됐다'며 소보원을 상대로 106억원의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하는 등 대반격을 펼치기 시작했다. 식품업체가 '힘센' 공공기관을 상대로 법적소송을 제기하는 것은 매우 드문 일.

이후 소비자들 사이에 어느정도 풀무원을 이해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두부판매도 다시 예전 수준을 거의 회복하기에 이르렀다. 그러자 이번에는 풀무원이 일본 기업과 손잡고 합작법인 형태의 '㈜한국유전자검사센터'를 설립, 생명공학 사업에 진출하기로 했다.

2001년부터 유전자변형농산물(GMO) 표시제가 도입됨에 따라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GMO 정량분석검사를 실시, 그동안 정부 산하 연구소가 독점하다시피했던 각종 고난도 분석을 민간기업이 직접 담당하겠다는 것이다. 풀무원은 "'검출됐다/검출되지 않았다'는 정성분석과는 달리 검체중의 GMO 함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밝히고 있다.

특히 최근 앵커 백지연씨의 소송과 승소로 관심을 모았던 친자확인 및 개인식별검사를 비롯, 식품, 곡물, 가축 등의 품종 감별도 실시한다. 지금까지는 국립과학수사연구소 등에서나 가능했던 일이다.

일본에서 한개 검체에 대한 유전자 정량분석 비용이 9만엔인 점을 감안하면 이 검사 센터가 연간 1천검체만 분석한다 하더라도 9천만엔(한화 10억원)의 매출이 나온다. 여기에 정성 분석, 친자감별 등 수탁업무를 처리할 경우 내년 매출은 15억원 정도, 표시제가 도입되는 2001년에는 30억원 정도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풀무원 이효율 상무는 "앞으로 수입업자나 도소매업자가 각 유통단계별로 GMO여부 증명서를 제출해야 하기 때문에 GMO 분석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소보원의 발표이후 불거친 GMO 표시제에 대해 능동적이고 과학적으로 접근하겠다는 풀무원의 의지 표명"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