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전셋값 상승률 9년 만에 동월 최고치

조인스랜드

입력

[황정일기자] 새해 들어서도 전세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면서 전통적 비수기임에도 지난달 전셋값 상승률이 1월 한 달간 상승폭으로는 2002년 이후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6일 KB국민은행의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전통적인 겨울철 비수기임에도 지난달 전셋값은 전국 평균 0.9% 올랐다.

매년 1월 전셋값 변동률을 보면 2002년 2.1% 오르면서 매매가격 폭등으로 이어지고 나서 2003년 -0.1%, 2004년 -0.5%, 2005년 -0.5% 등 하락세를 보이다 다시 집값이 뛰기 시작한 2006년 0.4%, 2007년 0.4%, 2008년 0.2% 상승했다.

또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2009년 -0.9%를 기록한 뒤 작년에는 0.3%로 약간 회복되는 형국이었다. 따라서 지난달 전국 평균 전셋값 상승률은 2002년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은 것이고, 주택 가격 조사가 시작된 1986년부터 올해까지 26년간의 같은 달 장기평균 증감률(0.4%)과 비교해서도 0.5%포인트나 높은 것이다.

매매가, 전국 0.5%·서울 0.1%↑

특히 서울지역 전셋값도 지난달 1%(강남 1.1%, 강북 0.9%) 뛰면서 역시 2002년(2.1%)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고 장기평균 변동률(0.6%)보다 0.4%포인트 높았다.

성동·광진·서초(각 1.8%), 강남(1.6%)이 많이 올랐다. 집 사는 것을 보류하고 전세로 눌러앉으려는 수요와 방학 이사 수요, 예비 신혼부부 수요가 증가하고 전세난 때문에 기존 세입자들이 재계약을 선호하면서 공급 부족 현상으로 전셋값 상승폭이 컸다고 국민은행은 설명했다.

국토해양부도 전셋값이 오를 것이라는 불안 심리 때문에 현재 상황에서 전세 계약을 하지 않아도 되는 수요자들이 미리 앞당겨 전세를 보러 다니는 가수요와 쏠림 현상도 나타나고 있어 `조금 오를 것이 더 오르는` 현상을 가져오고 있다고 보고 있다.

전국적으로 조사 대상 144개 시·군·구 가운데 무려 134곳이 올랐고 7곳은 보합세를 보였다. 용인 수지가 3.8% 오른 것을 비롯해 김해(2.6%), 부산 사상(2.6%), 성남 분당(2.3%), 대전 유성(2.2%), 부산 북구(2.1%), 춘천(1.7%), 창원(1.6%), 충주(1.6%), 전주 덕진(1.5%), 대전 중구(1.3%), 울산 울주(1.1%) 등이 공급 부족이나 각종 개발의 영향으로 많이 올랐다.

1월 전셋값이 내린 곳은 김포(-0.3%), 광명(-0.1%), 인천 남구(-0.1%) 3곳에 불과했다. 중개업소를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 `공급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82.9%로 최근 3년(2008년 1월 54.2%, 2009년 1월 31.6%, 작년 1월 67.2%) 같은 달과 비교해 훨씬 높았다.

한편, 전세 수요가 일부 매매로 갈아타면서 지난달 매매가격도 전국 평균 0.5% 올라 작년 8월부터 5개월 내리 상승했다.

1월 상승폭으로는 2007년(0.9%)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서울도 8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가다 작년 12월부터 2개월 연속 0.1%씩 올랐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