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 빨라진 친이 … 반발하는 친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는 26일 “2월 국회에서 개헌특위가 구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2월 8~10일 열릴) 개헌 의원총회 결론으로 (대표 산하의) 당 개헌특위나 정책위의장 산하의 태스크포스(TF)가 구성돼 개헌 문제를 본격적으로 논의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며 개헌 공론화를 위해 속도를 낼 뜻을 분명히 했다.

친이계 핵심인 이재오 특임장관이 주장해 온 ‘분권형 대통령제’와 관련해 안 대표는 “당 기구가 구성되면 권력구조에 대해 개인이 주장을 펴는 것은 자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권력구조만 아니라 감사원 기능의 국회 이관 문제 등을 포함한 입법·사법·행정 분야의 각 헌법 기관들이 가진 권한을 다시 정하는 큰 틀의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친이계 의원 모임인 ‘함께 내일로’ 소속 14명은 이날 헌법학자인 서울대 정종섭 교수를 초빙해 개헌에 대한 특강을 들었다. 임해규 의원은 “분권형 대통령제 등 (대통령 중심제와 내각제) 중간 형태의 개헌이 필요하다는 데 소속 의원들이 대체로 공감하는 분위기였다”고 밝혔다. 하지만 “‘집권 초기가 아니어서 늦은 감이 있다’거나, ‘정략적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고 했다. ‘함께 내일로’는 의원총회 직전인 6일 다시 모여 의견을 모으기로 했다. 권택기 의원은 “개헌 논의에 종지부를 찍자고 중립지대에 있는 의원들을 설득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반면 친박계의 반발 강도는 세지고 있다. 한선교 의원은 라디오에 출연, “분권형 대통령제를 밀어붙이는 힘을 느끼는데, 분명히 정략적인 생각과 숨은 의도가 있을 것”이라며 “백지상태에서 (박근혜 전 대표가 주장해온) 4년 중임제도 토론하는 다양성이 있는 의원총회가 돼야 성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친박계 인사는 “개헌은 박근혜 전 대표를 흔들기 위한 친이계들만의 논의로 이재오 특임장관을 띄우기 위한 것”이라며 “(박근혜 전 대표의 반대로 원안 계획의 수정이 무산된) ‘제2의 세종시’가 될 것”이라고 했다.

 친이계인 이군현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박기춘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를 만나 여야가 참여하는 국회 개헌특위 구성도 제안했다. 그러나 박 부대표는 “안 들은 걸로 하겠다”고 말했다 한다.

백일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