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역세권개발 "3개사 투자제안서 제출"

조인스랜드

입력

[함종선기자] 용산역세권개발이 지난 3일부터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에 대한 추가 투자자 모집을 재개한 가운데 토목 건설, 자재 업체 등의 참여가 가시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제위기와 삼성물산의 경영권 포기, 국제회계기준(IFRS) 시행 등으로 주춤했던 사업이 본 궤도에 오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용산역세권개발㈜ 관계자는 20일 "현재 토목, 자재업체를 중심으로 20여개의 기업들이 투자(지급보증) 의사를 표명해 세부 협의가 진행 중"이라며 "이들 가운데 3개 회사는 이미 투자제안서를 제출했다"고 말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애초 건설사에만 한정했던 지급보증을 토목, 자재 등 전문분야로 확대하면서 이들 전문 업체들이 적극적인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내달 토지계약금 완납 목표

공사를 종합건설사의 하도급 형태가 아닌 시행사로부터 직접 발주를 받는 구조여서 최저가 입찰 등에 대한 부담 없이 대규모 공사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 매력을 느끼고 있다는 설명이다.

부문별로는 1조3000억원의 공사비가 걸려 있는 토목분야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다. 현재 토목에 강점이 있는 3~4개 중대형 건설사가 회사별로 500억~800억원의 지급보증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10대 전문 토목회사 가운데 5~6개사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토목공사 전체 물량을 수주하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용산역세권개발 관계자는 "토목 분야는 기반시설 착공 시점인 2012년 5월에 가장 빨리 공사에 들어가 2013년 12월이면 공사가 끝나기 때문에 분양 성공 여부와 관계없이 기성불로 공사 대금을 받을 수 있는 가장 좋은 조건의 공사"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주방기기 업체와 알루미늄 새시, 시멘트, 커튼월 등 전문 자재분야의 1, 2위 업체들도 투자 참여를 저울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 자금 유치도 추진

회사 측은 이런 추세라면 마지막 4차 토지계약금(3175억원) 완납에 필요한 자금(1575억원) 마련에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4차 토지계약금을 지급하면 정식 사업자로서 전체 토지에 대한 소유권을 갖게 되며 보상협의와 개발계획 변경 등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된다.

회사는 2016년 완공 계획에 따라 이르면 다음 달까지 토지계약금 완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용산역세권개발은 국내 투자자 모집과 동시에 해외자금 유치에도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싱가포르, 홍콩, 상하이 등지에서는 이달 27일까지 투자설명회(IR)를 개최하고 `차이나 머니` 유입을 추진한다.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투자자 등과 약 100억 달러 규모의 이슬람 펀드를 조성해 단계적으로 투자를 받는 방안도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내달까지 토지 계약금을 완납해 정식 사업자로 지정되면 해외 등 추가 투자자 확보도 지금보다 수월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아직 삼성물산을 대신할 대형 건설사의 참여가 확정되지 않았다는 점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빅5` 건설사들은 올해부터 시행된 국제회계기준(IFRS)과 땅값 인하 요구, 사업조건 변경 가능성 등을 놓고 참여를 저울질하고 있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