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김치를 아십니까, 그 열두가지 이야기〉방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올해는 TV프로도 김치 담그기에 한몫 한다. 김장철인 11월, SBS가 김치의 우수성을 예찬하는 다큐멘터리를 준비했다. 정통 다큐로 여러번 상도 받았던 전 SBS 윤동혁PD의 `짧고 쉽고 부드러운' 다큐라 형식에서도 이색적이다.

SBS〈출발 모닝와이드〉3부가 11월 1일부터 한달간 매주 월.화.수요일 아침 8시부터 10분씩 방송할 〈김치를 아십니까, 그 열두가지 이야기〉는 반성에서 출발한다. 평소 "김치는 한국인의 얼이요, 자존심"이라고 외치는 한국인들이 과연 김치를 제대로 아는가, 얼마나 자부심을 느끼는가, 혹시 김치공장에서 일하는 것을 부끄러워 하는 것은 아닌가.

첫째주 세 편은 일본에서 국위선양을 하고 있는 김치의 위력을 담았다.

서울 올림픽을 전후해 일본에서의 김치 인기는 가히 폭발적. 일본이 세계식품규격위원회에 `기무치'를 등록시켜 김치를 몰아내려 한다, `세계 김치시장의 70%는 `기무치'라는 말도 있지만 괜한 걱정이라는게 이 프로의 주장. 일본의 배추와 무는 왜 겉절이 밖에 만들수 없는지, 일본 고춧가루는 왜 김장에적합하지 않은지, 일본은 왜 김치를 숙성.발효시킬수 없는지 함께 알아본다.

둘째주에는 김치의 신비를 파헤친다.

김치가 빨갛게 된 것은 고춧가루가 한국에 전래된 후로 3백여년 밖에 안된다. 매운 맛과 단 맛을 겸비한 한국 고추는 김치에 들어가 젓갈의 비린내를 억제하고, 몸에 나쁜 이물질이 발생하지 못하도록 기능한다.

셋째주 이야기들은 하와이에도 김치가 인기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하와이 군 부대에도 김치가 들어가고, 김치버거가 인기이다. 한국말을 못해도 정성을 다해 김치를 담그며 할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조 킴스김치공장'을 운영하는 이민3세대 리처드 김씨도 찾아가본다.

넷째주의 주제는 김치의 세계화이다.

외국인이 좋아하는 김치의 종류, 맛, 응용식품에 대해 알아보고 몽골의 김치 세미나, 하와이 와이키키의 김치 강좌 등 김치의 세계화 현장도 찾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