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된 상담전문 교수진을 통해 인재양성 '서울디지털대학교 상담심리학부'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서울디지털대학교 상담심리학부가 공인된 전문성과 자질을 갖춘 교수진을 통해 상담전문가의 꿈을 이뤄주고 있다. 상담은 공인된 상담전문가가 가르쳐야 하지만 사이버대학의 경우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제 서울디지털대학교 상담심리학부가 이러한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고 있다.

서울디지털대학교 상담심리학부는 체계적인 커리큘럼 및 전문적인 교육을 바탕으로 전문성을 갖춘 전임교수진과 초빙교수 및 객원 교수진 통해 상담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공인된 상담전문 자격을 갖춘 교수진의 수준 높은 강의와 세심한 지도를 통해 상담 분야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전문가로써의 자질을 갖출 수 있게 된다.

서울디지털대학교 상담심리학부 전임교수 6명 모두는 공인된 상담전문가이며, 대부분 서울대 상담임상심리 박사 학위자이다. <불안증상의 발현에서 위험회피 기질과 체험회피 시도의 역할> 논문으로 한국심리학회 김재일 소장학자논문상을 수상한 유성진 교수, 정서조절에 대한 연구를 선구적으로 시작하고 국내 최초로 ‘정서조절과 행복’이라는 강의를 만든 이지영 학부장 등 탄탄한 전임교수진을 자랑하고 있어 수준 높은 강의를 들을 수 있다.

또한 서울대 대학생활문화원 원장 권석만 교수, 서울대 대학생활문화원 학생상담센터장을 역임한 임상심리 전문가 이훈진 교수 등 현재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로 활동하고 있는 자문교수진도 갖추고 있으며, 한국 임상심리학계의 대부로 불리고 있는 원호택 교수 및 임상심리전문가의 길을 개척한 김중술 교수 그리고 풍부한 임상현장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민병배 교수 등 화려한 객원교수진을 보유하고 있다. 객원교수진의 특강은 오프라인 상담교육을 통해 매 학기 6회 직접 들을 수 있다.

서울디지털대학교 상담심리학부는 초빙교수진도 화려하다. 상담심리학을 독립된 학문영역으로 구축해 상담심리 분야에서 전설로 통하는 이장호 교수 등 대부분이 명문대 출신이기 때문에 전문전인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서울디지털대학교 상담심리학부에 관심이 있다면 홈페이지(http://counsel.sdu.ac.kr)및 전화(1644-0982)를 이용하면 되며, 더욱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다면 학부 상담전화(02-2128-3264, 3265, 3068)나 이메일(counsel@sdu.ac.kr)을 통해 문의하면 된다.

<이 기사는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르며, 해당기관에서 제공한 보도 자료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