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원 … 속도 붙은 문화재 환수, 자존심을 다시 찾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문화재의 제자리를 찾기-. 올해는 문화재 분야 빅 뉴스가 많았다. 지금까지 난제로만 여겨졌던 문화재 환수에 가속도가 붙었다. 크게 보면 비틀렸던 한국 근·현대사의 정상화다. 잃었던 자존심의 복원이다. 나라 전체의 높아진 위상이 뒷받침된 건 물론이다.

 우선 조선총독부가 일제 강점기 불법으로 반출한 문화재를 돌려주겠다는 간 나오토 총리 담화가 8월 발표됐다. 일본 정부는 후속 조치로 궁내청에서 보관 중인 조선왕실의궤와 한국 도서 등 1205책을 반환하겠다고 밝혔다. 조선왕실의궤 167책 전부와 대전회통 1책, 증보문헌비고 99책, 이토 히로부미가 대출해 간 규장각 도서 938책이 포함됐다.

 프랑스 정부도 병인양요 때 약탈해간 외규장각 도서를 5년마다 갱신이 가능한 대여 형식으로 돌려주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궁내청 도서의 경우 일본 측이 ‘환수’란 표현을 쓰지 않고 가치중립적인 ‘인도’라는 표현을 쓴 점에 대해 의견이 분분했고, 외규장각 도서는 ‘대여 갱신’이란 형식이 적절한지를 두고 논란이 일기도 했다. 올해 환수가 완료되면 소장처·활용방안 등을 두고 상당한 진통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광화문 복원도 특기할 만한 이슈였다. 광복절인 8월 15일 광화문 광장에서 광화문 현판식을 거행했다. 일제강점기의 상징인 조선총독부를 헐어내고 광화문 권역의 복원을 마친 것이다. 반면 석 달 만에 현판에 금이 가면서 20년 대역사(大役事)에 오점을 남겼다.

 역사복원에서도 큰 성과를 거뒀다. 한·일 양국 지식인이 5월 10일 한일강제병합은 불법적으로 이뤄져 사실상 무효임을 선언했다. 국권 피탈 100년 만에 양국의 지식인이 역사를 바로잡고자 양심선언을 한 것이다.

이경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