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시적으로 후보지 선정?

조인스랜드

입력

새 수도 후보지 4곳의 선정 작업은 극비리에 진행됐으나 후보지 발표이후 조금씩 뒷얘기들이 흘러나오고 있다.

신행정수도건설추진위원회는 지난 15일 후보지 4곳을 발표하면서 후보지를‘가나다라’로 구분해 발표했다. 이춘희 부단장은 “이 순서는 평가 점수와는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후보지 중에 최종 입지가 어디로 결정될지 지금 예단하는 것은 무의미 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후보지 평가기준 마련 작업에 참여했던 한 교수는 “평가기준을 만들고 나서 그 기준대로 거론된 후보지를 따졌을 때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곳이 충남 장기ㆍ연기군 일대였다”고 말했다.

그는 “강력한 후보지였던 충북 청원군 오송은 고속철도 역사가 2007년에 완공되면 수도권과의 이동거리가 1시간 이내로 단축돼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전했다.

추진위가 후보군을 최초에 추려내는 작업은 다분히 원시적인 방법을 썼던 것으로 밝혀졌다.

추진위 관계자는 “산과 강이 표시된 충청권 대형 지형도를 책상에 올려놓고 축척을 감안해 후보지 크기(2300만평)에 해당하는 투명 비닐종이를 움직여가며 찾아내는 식으로 진행됐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깎아 내기가 불가능한 해발 200m 이상 산을 피하다 보니 개발가능지가 별로 많지 않았다”고 말했다.

4곳의 후보지 중 3곳이 박정희 대통령 시절에 임시행정수도 후보지로 거론됐던 곳이란 점도 흥미롭다.당시에는 충남 장기지구와 논산지구,천안지구 등이 포함됐으며 장기지구가 가장 유력했던 후보지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충북 음성ㆍ진천군 일원이 후보지에 포함된 것은 전문가들과 현지 주민들조차 전혀 예상하지 못한 이변이었다.

한 추진위원은 “유력한 후보지였던 충북 청원군 오송이 초반에 충남 연기군,공주시 장기면과 한묶음으로 개발가능지 검토가 이뤄지는 바람에 충북권의 후보지가 자칫하면 한곳도 안나올수도 있는 상황이었다”며 “충북의 지역 정서를 감안해 개발가능지가 확보될수 있는 음성ㆍ진천군이 후보지에 들어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새 수도 이전으로 충청권 주민들은 당장 큰 이익을 챙기기보다는 건축행위와 개발행위 제한으로 상당 기간 불편을 감수해야 할 상황이다.충남북 전체 면적의 13.2%나 되는 1만6569㎢가 개발행위허가 제한 구역으로 지정됐기 때문이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