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무기 도입 740조 투자” … 푸틴, 군비 확장 팔 걷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러시아의 전략 핵잠수함 ‘알렉산더 네브스키함’의 시험 운항식 참석을 위해 13일(현지시간) 세베로드빈스키시 세브마시 조선소를 방문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총리가 승조원들의 환영을 받고 있다. 푸틴 총리는 이날 “군 현대화를 위해 총 20조 루블을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베로드빈스키 로이터=연합뉴스]


러시아가 군 전력 재건에 팔을 걷어붙였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총리는 군 현대화를 위해 2020년까지 총 20조 루블(약 740조원)을 투입할 계획을 밝혔다고 이타르-타스통신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러시아의 차세대 전략 핵잠수함인 ‘알렉산더 네브스키함’의 시험운항 참관을 위해 아르한겔스크주에 위치한 세브마시 조선소를 방문한 자리에서다.

 이 자리에선 러시아 정부가 2011년부터 추진하는 군비 확장 10개년 프로그램 관련 회의가 열렸다. 푸틴 총리는 정부 각료 및 군 고위 관계자들에게 “군의 재무장을 위해 심각하고 중대한 자금을 편성하고 있다”며 “나 자신도 20조 루블이란 엄청난 액수를 말하는 게 두려울 정도”라고 말했다 .

 푸틴은 “이 돈이 총 1300여 개의 군사무기 및 생산시설 구입에 쓰일 것”이라며 “신규 무기는 220가지가 도입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대상은 주로 전략 핵무기를 비롯해 방공시스템, 통신, 정보, 5세대 전투기 등”이라고 예시하면서 “특히 해군 전력에 4조7000억 루블(약 175조원)이 우선 투입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러시아 정부는 2015년까지 군 전력 현대화 비율을 30%까지 높이고 2020년엔 70% 수준으로 올릴 계획이다.

 옛 소련 시절 미국과 함께 최강 군사대국이었던 러시아는 1991년 소련 붕괴 후 경제 사정이 어려워지며 군 전력의 약화를 감수했다. 2008년 그루지야와의 전쟁 등에선 노후 무기의 결함을 보였다. 80년대까지 전 세계에 10여 개의 해외 해군기지를 갖고 있던 러시아는 군비 축소, 연료 부족을 이유로 우크라이나와 시리아 기지 2곳만 유지하고 나머지 기지를 폐쇄했다. 하지만 지난 몇 년간의 경제 성장을 바탕으로 최근 군 전력 재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서방의 군사력 증강에 대처하기 위해 동맹국과 새로운 해군기지 건설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며 해외 해군기지 확장 계획을 밝혔다. 앞서 이타르-타스통신은 러시아 정부가 리비아와 예멘에 새 해군기지를 건설하고 시리아 타르투스 항구 시설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지난 10월엔 러시아 정부가 2002년 철수시켰던 베트남 깜라인만 해군기지의 사용 재개를 베트남 정부와 합의했다는 사실이 알려지기도 했다.

이승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