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2013년 경기도민체전 무산 위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4면

2012년과 2013년 경기도민체전 개최지인 화성시와 용인시가 잇따라 체전 개최를 포기했다. 두 지역 모두 ‘재정 악화’를 이유로 내세웠다. 다른 지자체도 형편이 좋지 않아 체전이 무산될 위기에 놓이게 됐다.

 화성시는 최근 2012년 도민체전 개최를 반납한다는 내용의 공문을 경기도체육회에 보냈다. 화성시는 “테니스장과 궁도장 등 체전 개최를 위해 경기장 건립이 필요하고 대회 운영비도 있어야 하지만 재정여건이 어려워 감당하기 힘들다”고 설명했다. 화성시는 향남읍 도이리에 화성종합경기타운을 2011년 1월 완공해 체전을 치른다는 계획이었다. 3만5000석 규모의 주경기장과 보조경기장, 5000석이 넘는 체육관 등을 갖춘 이 종합체육시설에는 2369억8900여만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그러나 거듭된 재정악화로 공사비를 확보하지 못해 공정률이 75%에 머물고 있다. <본지 10월 14일자 31면>

 화성시 인재육성과 김남운씨는 “시 재정이 안 좋아 경기타운 건립이 힘들 뿐만 아니라 70억원에 달하는 대회 운영비도 마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용인시도 이달 초 도체육회에 2013년 도민체전 개최를 반납한다는 뜻을 밝혔다. 용인시는 체전을 대비해 예산 4000여억원을 투입해 삼가동 시민체육공원에 3만5000석 규모의 주경기장과 보조경기장을 짓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공정률이 3.5%에 불과해 2013년 3월 완공계획은 물 건너간 상황이다. 용인시 교육체육과 체육행정담당 이지연씨는 “시민체육공원을 체전 이전까지 완공할 수 없어 체전을 포기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화성시·용인시는 2008년 단독으로 도민체전 개최 의사를 밝혀 도체육회는 올 4월 두 도시를 2012년, 2013년 도민체전 개최지로 결정했다. 일각에서는 재정 악화로 인한 두 지역의 불가피한 선택을 이해한다. 도민체전을 치르려면 시설비와 대회 운영비 등으로 최소 70억원, 많게는 100억원의 예산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경기도가 대회운영 지원비로 30억원을 지원한다. 시·군은 이런 부담에도 인지도를 높일 수 있고 관광객 유입 등으로 지역 경제가 활기를 띤다는 이점 때문에 체전 개최를 희망한다. 그러나 지자체들의 재정상황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반납한 체전을 다른 지역이 받겠다고 나서는 곳이 없어 자칫 2012년과 2013년 체전이 무산될 가능성이 크다.

 화성시·용인시가 지방선거를 앞두고 유권자들의 이목을 끌기 위해 일단 유치하고 보자는 식으로 체전을 유치했다가 뒤늦게 ‘전임 시장 사업’이라며 반납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두 지역 모두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시장에서 민주당 시장으로 바뀌었다.

 체육회 관계자는 “체전은 지역민을 하나로 만들고 사기를 올리는 효과가 있다”며 “안 그래도 지자체들이 예산부족을 이유로 운동부를 폐지하는 상황에서 체전 반납 상황까지 오니 아쉽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처럼 대회를 유치했다가 반납할 경우 불이익을 주는 등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장평수 경기도체육회 운영부장은 “조만간 도민체전운영위원회를 열어 새로운 개최지역을 찾을 것”이라며 “이번 같은 상황을 막기 위해 대응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최모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