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청 2015년 광교 이전 가닥 잡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경기도청이 2015년까지 광교신도시에 신축 이전할 예정이다.

 6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달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추진이 보류된 도청 이전 문제를 검토한 결과 2013년 광교신도시에 신청사를 착공, 2015년 말 완공하는 방안을 확정했다. 내년도에 설계 비용 50억원을 마련하고 2012년까지 기본·실시설계를 끝낼 예정이다. 그러나 신청사 규모는 당초 계획보다 축소될 전망이다. TF는 이런 내용을 김문수 지사에게 보고한 뒤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2008년 광교신도시 중심부인 행정타운 특별계획구역에 2014년까지 도청사를 신축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지난해 말 예산 부족과 호화 청사를 둘러싼 논란이 일면서 추진이 잠정 보류됐다.

 TF보고서에는 신청사 이전 사업비 5000여억원을 광교신도시 개발이익금으로 충당하는 방안을 포함하고 있다. 예산 확보가 여의치 않더라도 도청을 제때 이전하기 위해서다. 광교신도시 입주 예정자들도 청사 신축 이전에 1조2000억원으로 추산되는 광교신도시 개발이익금을 사용하는 것을 용인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해 경기도는 공동시행자인 수원시·용인시·경기도시공사, 도의회와 협의를 벌일 예정이다.

 경기도가 2013년 신청사를 착공하려면 2011년 말까지 유효한 신청사 신축 이전 사업을 위한 정부의 투·융자 심사를 다시 받아야 한다. TF의 한 관계자는 “행정안전부가 전국 지자체에 신청사 신축을 2012년 6월까지 보류하도록 요구했으나 경기도청사는 2013년 착공 예정인 만큼 승인을 받는 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광교신도시 입주예정자들은 계획보다 늦어졌지만 다행이라는 반응이다. 입주자총연합회 윤상필 부회장은 “예상한 결과”라며 “경기도가 공식적으로 입장을 발표할 때 연합회 입장을 정리해 말하겠다”고 밝혔다.

 입주자총연합회는 도청 이전이 지연되자 지난달 17일 도청 앞에서 시위를 벌이는 등 반발했다. 김문수 지사에게 도청 이전을 촉구하는 입주자 5000여 명의 서명서도 전달했다. 이들은 “도청이 광교신도시로 이전될 것이라는 약속을 믿고 고분양가에도 불구하고 입주하기로 했지만 도청사 이전 지연으로 금전적·정신적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도와 도지사가 청사 이전을 계속 미룰 경우 손해배상청구와 주민소환 등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광교신도시는 수원시 이의동과 용인시 상현동 일대 1128만㎡로 2013년 말까지 아파트 3만1000가구, 7만7500명이 입주할 예정이다. 현재 1만2000가구의 분양이 끝났고 내년 9월 입주가 시작된다.

정영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