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누고 합치고 … 아파트 구조 ‘실속형’이 대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4면

SK건설의 2세대 동거형. 전용 110㎡형

요즘 주택 건설업체들은 침체된 분양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새로운 평면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건설사들이 평면 개발에 주력하는 게 어제오늘 일이 아니지만 요즘 주력하는 평면은 종전과 달리 톡톡 튀는 것은 없어도 활용성을 높인 실속형이 많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V자형이나 T자형 등 독특한 모양새로 주택 수요자들의 눈길을 끄는 구조를 많이 선보였으나 실용성이 떨어지고 죽은 공간이 많다는 이유로 시장 반응은 기대 이하였다.

 그래서 건설업체들은 사각형의 3베이(전면에 ‘방+거실+방’ 배치) 구조를 기본으로 전용면적을 늘리는 등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대표적인 게 SK건설이 상반기 선보인 ‘플러스알파존’ 평면이다. 안방과 거실·주방 옆 등의 비효율 공간(Dead space)을 한데 모아 같은 109㎡형(공급면적)이라도 종전 구조보다 전용면적을 최대 14㎡ 정도 늘린 게 장점이다.

현대엠코가 설계한 84㎡형 1층 복층

 현대건설은 올 초 분양한 인천 검단힐스테이트 4차에 포켓 발코니(발코니를 집 안에 설계한 형태)를 선보였다. 발코니를 필요에 따라 방이나 서재 등으로 쓸 수 있게 한 것이다. 코오롱건설도 수납 공간을 늘릴 수 있는 ‘칸칸’ 평면을 개발해 보급에 나섰다.

 임대수익형 평면도 공간 활용성을 높인 대표적 실용상품으로 꼽힌다. 가족 수는 줄고 1~2인 임차 수요는 늘어나는 현실을 반영해 집 일부 공간을 따로 떼어낸 것이다. SK건설은 자취생 2인이 공동으로 생활할 수 있는 ‘2침실형’ 평면을 지난달 선보였고, GS건설은 한 집에 3가구가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더블 임대수익형’ 평면을 최근 만들었다.

 GS건설은 이 평면을 내세워 지난달 서울 동작구 흑석동의 한 재개발 구역 시공권을 따냈다. 임충희 주택사업본부장은 “대학 주변에 임차 수요가 많다는 점에 착안해 이 평면을 제안했는데 조합원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고 전했다. 수요자들로부터 외면받던 1·2층에도 변화가 오고 있다. 현대엠코는 1·2층을 묶은 복층형 평면을 개발했고, GS건설은 1층 층고를 높이고 상부에 거실 면적만큼의 다락방을 설치했다.

 건설업체들의 이 같은 실속형 평면 개발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프로슈머(Prosumer: 소비자 체험단) 활성화 등 주택 개발 과정에서 소비자 참여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엠코 조명래 주택개발본부장은 “지방은 물론 서울·수도권 주택시장도 실수요 위주로 재편되고 있어 내부 구조 역시 실용적으로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삼성물산 등 다른 업체들도 수요자 맞춤형 평면 등 실속형 평면 개발에 속속 뛰어들고 있다. SK건설 신희영 상품개발본부장은 “지금까지는 베이(Bay: 아파트 전면에 배치된 거실과 방 수)를 늘리거나 눈길을 끌 만한 변형 평면이 많았으나 앞으로는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한 평면이 많이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황정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