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오 전남대 교수 “1가구 1로봇 시대 초석 놓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SF(사이언스 픽션) 영화에서 보던 로봇을 현실에서 만드는 일은 정말 짜릿해요. 인간의 삶을 풍요하게 하고, 1가구 1로봇 시대를 여는 데 초석을 놓고 싶습니다.”

 전남대 박종오(55·기계과 교수·사진) 로봇연구소장이 한국과학기자협회에서 주는 26회 ‘올해의 과학자상’ 수상자로 5일 선정된 뒤 밝힌 소감이다. 그는 올해 세계 처음으로 혈관 로봇을 개발했고, 2003년 세계 두 번째로 캡슐형 내시경, 2001년 세계 처음으로 대장 내시경 로봇 등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시상은 26일 서울 태평로 코리아나호텔에서 열리는 ‘과학 언론인의 밤’ 행사 때 한다. 그에는 순금 메달과 상패가 주어진다. 박 소장은 세계적으로 초소형 로봇 분야 개척자로 통한다. 그가 개발을 주도한 혈관로봇은 지름 1㎜, 길이 1㎝, 캡슐형 내시경은 지름 1㎝, 길이 2.5㎝, 대장내시경 로봇은 지름 2.5㎝, 길이 8㎝로 초소형이다. 현재 개발 중인 박테리아로봇은 눈에 잘 보이지도 않을 정도로 작게 만드는 게 목표다. 박 소장이 이런 로봇의 개발 아이디어를 내자 대부분의 사람은 불가능할 거라고 했다.

 “로봇을 사람들한테 보여주기 위해서만 개발하는 것은 의미가 없어요. 사람의 질병을 치료하거나 사람이 할 일을 대신 해주는 등 실질적으로 인간의 도우미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해요.”

 그는 1980~90년대에는 10여 가지의 산업용 로봇을 개발해 삼성전자·현대자동차·대우자동차 등 기업에 기술을 이전했다.

 박 소장은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국제로봇연맹의 회장을 맡는 등 한국의 위상을 알리는 국제 활동에도 열심이다.

심재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