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공안위원장 “일본군 위안부 보상 검토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일본의 공안위원장이 국회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해 “명예와 존엄을 회복할 수 있는 조치를 확실하게 취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오카자키 도미코(岡崎トミ子·사진) 국가공안위원장 겸 소비자담당상은 28일 참의원 내각위원회에 출석해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는 과정에서 이같이 밝히고 “(금전적 지급을) 포함해 대책을 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지금까지의 일본 정부의 공식 입장과는 다른 것이다.

일본 정부는 지금까지 전시(戰時)와 관련된 배상과 재산, 청구권 문제는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및 상대국과의 조약으로 해결됐으며 새롭게 개인보상을 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견지해왔다. 비록 담당 장관은 아니지만 일본 내각의 각료가 이 같은 입장을 국회에서 밝힌 것은 이례적이다. 위안부 문제는 관방장관이 관장하고 있다.

 오카자키 공안위원장은 2003년 서울의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위안부 지원단체가 주최한 반일 시위에 참여하기도 했다. 또한 평소부터 위안부에 대해 일본 정부가 사죄하고 금전적 보상을 해야 한다는 소신을 펼쳐 온 진보적 인물이다.

참의원인 오카자키 공안위원장은 민주당이 야당이었던 시절 이런 내용을 담은 ‘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 문제 해결 촉진 법안’을 반복해서 국회에 제출했다. 일 궁내청에 있는 조선왕실의궤 등 식민지 시기에 일본으로 강제 반출됐던 한국 문화재를 한국으로 돌려줘야 한다는 입장을 거듭 밝히기도 했다. 그는 올 4월에는 ‘위안부 문제 입법 해결을 요구하는 모임’ 등 일본의 시민단체들이 개최한 ‘전시 성적 강제 피해자 문제 해결 촉진 법안 제출 10주년 기념집회’에 참석해 “국회에서 전후 보상 관련 법제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도쿄=김현기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