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이슈] “나로호 실패 정책적 책임 규명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11면

18일 대전 KAIST에서 열린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한국땅에서 처음 쏴 올리는 나로호의 발사 실패와 한국형 발사체 개발 지연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다.

 무소속 유성엽 의원은 “나로호 2차 발사 실패에 따른 막대한 손실에 대해 정책적 책임을 반드시 규명해 한다”고 따졌다. 그는 한국형 발사체 개발에 대한 의문도 제기했다.” 30t급 액체엔진의 시험 발사를 거치지 않았고, 나로호 발사 때 기술을 이전받은 것도 없어 75t급 엔진을 개발할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김세연 의원은 “우주개발 예산이 지난해에는 500억원, 올해에는 1000억원 삭감됐다. 정부의 적극적 지원 의지가 있는지 궁금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두 차례의 나로호 발사가 실패했더라도 연구진이 위축돼서는 안 된다”고 주문했다. 한나라당 권영진 의원은 “나로호 3차 발사 여부와 시기를 정부가 너무 단정적으로 말한다”며 “국민에게 지나친 기대를 심어주는 것은 문제”라고 했다. 그는 또 “러시아가 아직 우리한테서 받지 못한 1000만 달러를 받으려면 3차 발사를 꼭 해줘야 하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한나라당 박보환 의원은 “나로호 3차 발사와 한국형 발사체(KSLV-Ⅱ) 개발을 병행하면 연구 인력이 부족해 되레 한국형 발사체의 개발이 지연될 우려가 있다. 나로호 3차 발사를 꼭 할 필요가 있느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주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발사체 1단의 제작 비용이 얼마나 드는지 잘 모른다. 3차 발사는 한국과 러시아 간 합의 사항으로 시기만 정하지 않았을 뿐”이라고 답했다.

박방주 과학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