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한국해양대 이전 수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울산국립대는 기존 한국해양대에 산업기술분야 학과를 대폭 확충하는 형태로 오는 5월초쯤 설립계획안이 확정될 전망이다.

박맹우 울산시장은 27일 "정부에서 제시한 해양대의 울산이전안을 수용키로 했다"며 "지역 실정에 맞는 세부계획 마련을 위해 이번주부터 정부(울산국립대학설립추진위원회)와 협상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울산시의 협상안은 지난해말 울산발전연구원이 마련한 2개의 국립대 설립안. 1안에는 에너지.환경대학,기술과학대학,의과대학(또는 한의과대학), 교육과학대학, 인문사회대학 등 5개 대학 설립안으로 되어 있다. 2안은 1안에 교양대학, 경영대학,문화예술대학 설립안이 추가됐다.

그러나 정부는 지난 16일 울산시에 해양대 이전안을 제시하면서 "이 안을 수용해도 (한)의대.사범대.예술대 등은 국가 전체적으로 공급과잉이어서 국립대 구조조정을 하고 있는 현재 여건으로는 설치가 어렵다"는 입장을 통보했었다.

울산시국립대설립범시민추진단(상임의장 박일송)도 "석유화학.자동차.조선.환경.에너지 등 울산 산업의 주축에 맞는 특성있는 종합대학으로 세워져야 한다"는 입장을 거듭 주장해왔다.

울산시 관계자는 "그동안 여러 갈래의 논의를 종합할 때 산업기술 분야를 위주로 이를 보완하는 수준의 인문.예술 학부를 확충하는 안이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규모는 신입생 정원 기준으로 최소한 1400명은 돼야 한다"며 "그러나 2000명을 넘는 수준은 정부가 수용하기 힘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울산시.해양대측과의 협의를 통해 4월말까지 학과신설.대학규모 등 세부 이전계획을 마련, 5월초 대통령 보고를 통해 이를 확정할 방침이다.

한편 박맹우 울산시장은 "지역 실정에 맞도록 협의만 잘 되면 이전도 신설과 다름없다. 무조건 신설만 고집하면서 정부 제시안을 막무가내로 거부할 경우 대학 설립자체가 무산될 위기에 빠질 수 있다"며 그동안 고수해온 '신설 입장'후퇴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기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