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 2월 매출 두 자릿수 증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설 특수와 결혼 붐이 이달 백화점 매출을 오랜만에 두 자릿수로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현대.신세계 등 주요 백화점들은 2월 매출(1~26일)이 지난해보다 13.5~17.2%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백화점의 두 자릿수 매출액 신장률은 2002년 상반기 이후 3년 만이다. 그러나 이는 소비 심리가 회복됐기 때문이라기보다는 설과 혼수라는 '특수의존형 성장세'라는 게 백화점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지난해엔 1월에 있던 설이 올핸 2월이어서 선물세트와 신선식품의 매출이 크게 늘었다. 더구나 '선물 안 주고 안 받기' 운동으로 선물시장이 꽁꽁 얼어붙었던 지난해와는 달리 올해에는 '선물 주고 받기'운동까지 일어났던 터라 설 선물 특수 영향도 컸다. 설 시장을 주도하는 식품매출도 백화점별로 많게는 두 배 이상 늘었다. 이 때문에 식품매출을 제외하면 롯데(9.2%). 현대(4.7%).신세계(8.7%) 등 신장률은 모두 한 자릿수로 떨어진다.

그래도 그동안 마이너스 행진을 하던 백화점 업계로서는 이것도 큰 신장세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의 일등공신으로 '혼수'를 꼽는다. 지난해엔 봄 결혼시즌에 윤달(3월21~4월18일)이 겹친데다 '윤년에는 결혼하지 않는다'는 징크스를 깨지 못해 혼수시장은 부진을 면치 못했다. 그러다 결혼을 미뤘던 예비부부들이 올해 대거 결혼을 준비하면서 이미 올 초부터 혼수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보석류 등 장신 잡화(37.4%).가전제품(15.5%).신사정장(8.1%) 등 혼수 관련 상품 매출이 크게 늘었다고 밝혔다. 현대백화점도 화장품(10.8%).여성정장(9.4%).남성정장(9.5%) 등이 높은 신장률을 보였다.

그러나 백화점 업계는 원래 지금 팔려야 하는 봄 신상품들이 지난해보다 5~10% 정도 덜 팔리는 등 고전 중이라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갤러리아 백화점 가재학 부장은 "봄상품 매출이 부진한 것은 아직 날씨가 추운 탓으로 보고 있지만, 소비심리의 위축이 장기화되는 것이 아닌지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선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