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등심 촬영에 100kg 사용…전복 찍을 땐 1시간 기다려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백화점마다 추석 선물세트 판매 경쟁이 치열하다. 중요한 마케팅 수단으로 추석 선물가이드북(카탈로그)이 꼽힌다. 특히 구매량이 많은 법인고객들은 선물가이드북을 보고 구매 품목을 결정하는 경우가 많아서다. 선물가이드북을 돋보이고, 고급스럽게 만드는 게 판매량과 직결된다. 권당 제작가격만 1만~2만원에 달한다.

업체들은 무엇보다 사진 촬영에 공을 들인다. 현대백화점 정지영 마케팅팀장은 “추석 연휴 60~70일 전부터 가이드북 제작에 들어가는 게 일반적”이라고 소개했다. 현대백화점은 한우 세트를 촬영할 때 20년 넘게 쇠고기만 다듬은 장인이 동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고기의 신선한 육질이 충분히 드러나야 하는 만큼 쇠고기를 미리 잘라놓지 않고, 냉동차에 싣고 와 촬영 직전에 부위별로 손질해 내놓아야 하기 때문이다.

고기를 고르는 것도 까다롭다. 선물세트 중 가장 잘 팔리는 부위는 갈비이지만, 촬영에는 등심을 사용한다. 한우 특유의 마블링(지방질이 퍼진 정도)이 가장 잘 드러난 부위가 등심이기 때문. 촬영용 등심 한 덩어리(5㎏)를 만들기 위해 보통 100㎏ 이상의 쇠고기를 사용한다.

이 회사 정육담당 권순권 바이어는 “쇠고기는 공기에 노출되는 즉시 수분이 마르고 산화가 시작되기 때문에 찍을 수 있는 시간이 제한적”이라며 “사진 한 장이 나오기까지 고기를 바꿔가며 10시간가량 촬영한다”고 말했다.

신세계백화점은 살짝 구워낸 육류 사진을 많이 사용한다. 요리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서다.

활전복은 어항 속 전복들이 모두 같은 모양으로 동시에 입을 벌릴 때가 가장 이상적인 촬영 시점이다. 7~8마리의 전복들이 동시에 같은 동작을 취하는 순간을 기다렸다가 50~60컷씩 연속으로 촬영해야 한다. 첫 셔터를 누를 때까지 1시간 이상 기다리는 것은 기본이다.

과일은 사진에 찍혔을 때 살짝 빛이 나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자연스러운 빛깔을 내기 위해 기름이나 물은 사용하지 않고 마른 수건으로 닦아 광을 낸 다음 촬영한다. 경기가 나아지면서 올 추석 선물세트 매출 목표는 백화점별로 지난해보다 20%가량 늘어난 400억~760억원이다.

이수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