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정계 개편 의도" 여당 "연정 고려 안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 열린우리당 정세균 원내대표(左)가 26일 오후 취임 인사차 민주당 마포당사를 방문해 신낙균 대표대행(右), 김홍일 의원(왼쪽에서 둘째) 등 당직자들과 밝은 표정으로 얘기하고 있다.[조용철 기자]

청와대가 소식지인 '청와대 브리핑'을 통해 '연정(연립정부)'을 거론하자 정치권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야당은 26일 "연정이 정계 개편 의도를 깔고 있다"고 반발한다. 반면 여권은 "연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며 진화에 나섰다. 미국 방문을 마치고 귀국한 민주당 한화갑 전 대표는 귀국보고회에서 "굳이 연정을 하겠다면 노무현 대통령은 열린우리당에서 탈당하고 각 당과 상의해 공개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청와대 브리핑은)연정을 합리화하고 정권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한 전 대표는 또 "현 상황에서는 열린우리당의 과반수가 깨져야 정치가 정상화된다"면서 "그래야만 협상과 타협의 정치가 이뤄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나라당 김덕룡 원내대표도 "노무현 정권이 과반수 의석 확보를 위해 정계개편 의도를 서서히 드러내고 있다"면서 "연정을 미끼로 야당 파괴 공작을 노골적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김종민 청와대 대변인은 "전날 청와대 브리핑에 실린 글의 요지는 민주당 김효석 의원 입각 제의에 따른 청와대의 기본 입장을 밝힌 것"이라며 "연정 의사가 있거나 앞으로 하겠다는 게 아니다"고 반박했다. 신임 인사차 민주당사를 방문한 정세균 열린우리당 원내대표도 "합당이 쉬운 것이 아니다. 형제당으로서 협력관계를 구축하자"며 연정 논의를 부인했다. 그럼에도 열린우리당 일각에선 연정 및 합당설이 꾸준히 퍼지고 있다. 4월과 10월 재.보선 이후 원내 과반수가 무너질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2007년 대선을 위해서도 호남 민심을 끌어안으려면 민주당과 합당하거나 그보다 한 단계 낮은 연정이라도 해야 한다는 게 그들의 논리다. 염동연 의원은 "재.보선을 치르면 양 당이 모두 굉장한 위기감을 느끼게 될 것"이라며 "올 연말께 민주당과의 합당이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철희.박소영 기자<chlee@joongang.co.kr>
사진=조용철 기자 <youngc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