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기아차 노조 '취업장사'로 입사한 직원 100여명 우선 소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의 직원채용 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광주지검은 24일 이 회사 생산계약직(비정규직) 사원의 정규직 전환이 시작된 2002년부터 올해 초까지 3년간 '취업장사'에 개입한 사람들을 전원 사법처리키로 했다.

검찰은 이 기간 중 정규직으로 전환된 광주공장 직원 1676명 가운데 노조 및 회사 간부는 물론 시청.경찰 공무원, 정치권 인사 등의 청탁을 통해 취업한 것으로 의심되는 100여명을 우선 소환대상자로 분류, 본격 조사에 착수했다.

검찰 관계자는 "최근 압수한 광주공장의 인사 서류와 본사 감사팀의 감사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 1997년 기아차가 현대차에 흡수된 이후 지난 3년간 취업장사가 가장 성행했던 것으로 나타나 이 같이 수사 범위와 대상을 정했다"고 말했다.

기아차 광주공장은 노사 합의를 통해 2002년 5월 생산계약직 사원 180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한 이후 2003년 166명, 2004년 251명, 지난 1일 1079명 등 2년8개월 동안 모두 1676명을 정규직으로 바꿨다.

이에 따라 우선 소환되는 100명의 조사 결과 취업 장사에 연루된 사람이 무더기로 적발될 경우 대규모 사법처리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검찰은 채용 과정에서 부적격자 등을 추천해 입사시킨 노조 간부나 부정한 청탁을 통해 취직한 사람 등에 대해서는 업무방해죄(5년 이하의 징역, 1500만원 이하의 벌금)를 적용하기로 했다.

또 광주공장에 취직시켜 주는 대가로 청탁자들로부터 돈을 받은 노조 및 회사 간부 등은 배임수재죄(10년 이하의 징역, 3000만원 이하의 벌금)로 처벌할 방침이다.

검찰은 광주공장의 경우 2002년 용역업체를 통해 계약직 근로자를 채용하면서 취업 장사가 본격화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또 입사 지원자 9명으로부터 2억원가량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는 정모(45)씨가 광주공장 노조지부장이 된 2003년 6월부터 채용 비리 의혹이 불거지기 직전인 지난해 9월 사이에 취업 장사가 최고조에 달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검찰은 노조지부장 정씨가 이날 자진출두함에 따라 정씨 부인의 증권계좌에 들어있는 1억8000만원 수수 경위와 차명계좌를 통해 받은 돈이 더 있는지 등을 조사 중이다. 검찰은 정씨에 대해 배임수재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키로 했다.

검찰은 정씨에게서 ▶취업 장사가 노사 합작품인지▶취업 브로커가 개입됐는지▶노사 외에 정치권 등 외부 청탁이 있었는지 등을 확인할 방침이다.

광주=조강수.홍주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