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mily/교육] 치~이랬던 과학 수업이 와~재미 만점의 놀이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 "우와 신기하네." 서울시 북부교육청의 '쉽고 재밌는 과학동산'에 참가한 여중생들이 직접 만든 분광기를 들여다보며 빛의 분산을 관찰하고 있다.박종근 기자

과학은 어렵다? 중고생 10명 중 한명은 기초학력에 미달한다는 과학과목. 특히 여학생은 과학 성취도에 있어 남학생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된다. 전문가들은 "어렵고 딱딱한 과학수업이 여학생들의 흥미를 떨어뜨린다"고 지적한다. 호기심을 자극할 만한 쉽고 재미있고 실용적인 그런 과학 수업은 없을까.

"진짜 무지개 색이 보여. 신기하다."

"우와, 주황색이 무지 이뻐."

"레이저빔 같아."

지난 12일 서울 도봉구 창동초등학교 제1실험실. 여중생 30여명이 검은색 종이분광기를 들여다 보며 감탄사를 연발했다. 서울시 북부교육청이 10~14일 연 '여학생을 위한 겨울 과학동산'에 참가한 학생들이다.

이날은 선생님이 나눠준 도면을 이용해 종이분광기를 만들었다. 종이를 잘라 모양을 만들고 필름을 붙인 뒤 검은 테이프로 꼼꼼하게 모서리를 마무리하면 완성. 이를 형광등 불빛을 향하게 하고 들여다 보자 '빨주노초파남보' 무지개색 띠가 나타났다.

신기해하는 학생들에게 지도교사인 고정미(노곡중)교사는 "분광기를 돌려서 보면 어떻게 되죠"라고 물었다.

온주영(신창중)양이 "분광기를 이렇게 돌리면 스펙트럼이 반대방향으로 보여요"라고 하자 선생님이 "아주 잘했다"고 칭찬했다. 고 교사는 "필름은 방향성이 있어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스펙트럼 방향이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같은 시간, 창동초 제2실험실에서는 30여명의 학생들이 다림질에 열중하고 있었다. '전기다리미로 문양 염색하기' 수업이다. 염색종이를 잘라 원하는 문양을 디자인한 뒤 면 손수건에 대고 다림질을 하면 염색이 된다.

하트.꽃.오리 등 각자 디자인한 다양한 그림이 손수건에 새겨졌다. 한 글자만 가운데 크게 새긴 작품도 있는가 하면 잘못해 글씨가 거꾸로 염색된 손수건도 있다.

"빨간색이 하나도 안 붙었어."

"반대쪽 면에 염색해 버렸어."

학생들은 실수를 하고도 즐거운 표정이다. 이 수업을 진행한 박묘선(신창중)교사는 "과학과목은 흥미와 호기심이 가장 중요하다"며 "특히 여학생들이 재미있어 할 만한 실험들로 프로그램을 꾸몄다"고 설명했다.

학생들도 실험내용에 만족스러워했다. 김가화(중원중)양은 "학교에선 직접 실험해 볼 기회가 많지 않았는데 이곳에선 각자 직접 만들어 볼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황유선(한천중)양도 "빨대로 저울 만들기, 핸드크림 만들기 등 쉽고 실용적인 실험들이라 재미있다"고 했다.

구자홍 북부교육청 장학사는 "과학도 즐겁다는 걸 느끼도록 실험 위주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한애란 기자<aeyani@joongang.co.kr>
사진=박종근 기자 <jokepark@joongang.co.kr>

*** 집에서 해볼 만한 과학실험

◆ 얼음 과자 만들기

▶ 준비물:잘게 부순 얼음, 소금, 소주잔, 설탕물, 식용색소, 나무젓가락, 넓은 그릇, 온도계

▶ 실험:① 넓은 그릇에 잘게 부순 얼음을 넣는다.

② 소금을 골고루 뿌리고 잘 젓는다. 얼음과 소금의 비율은 3:1.

③ 소주잔에 색소를 탄 설탕물을 넣고 ②에 묻어 둔다.

④ 20~30분 뒤 꺼내 확인한다.

▶ 원리:얼음에 소금을 넣으면 어는 점이 내려가 얼음이 물로 변한다. 이때 주위의 열을 빼앗기 때문에 소주잔 안의 온도가 낮아진다.

◆ 우유 장식품

▶ 준비물:우유, 식초, 틀, 냄비, 면손수건

▶ 실험:①우유 300㎖를 냄비에 붓고 끓지 않을 정도로 천천히 데운다.

②뜨거워지면 식초를 큰숟가락으로 2~3숟가락 넣으면서 젓는다.

③단백질이 엉기면 면손수건으로 걸러낸다.

④ ③을 꼭 짠 뒤 틀에 채워 넣거나 손으로 모양을 만든다.

⑤며칠 말리면 플라스틱처럼 단단해진다. 목걸이나 브로치를 만들려면 굳기 전 구멍을 뚫거나 핀을 붙인다.

▶ 원리:우유 속 단백질 카제인은 식초를 첨가하거나 열을 가하면 굳는다. 처음엔 축축하지만 마르면서 분자결합이 강해져 단단해진다.

◆ 왕계란

▶ 준비물:달걀, 식초, 랩

▶ 실험:①식초를 그릇에 붓고 달걀을 담근다. 랩으로 그릇을 덮어 하루 정도 놓아둔다.

②달걀 껍데기가 모두 녹으면 조심스럽게 씻는다.

③그 달걀을 물 속에 담가 둔다.

④하루 정도 둔 뒤 꺼낸다.

▶ 원리:놀랄 정도의 왕달걀이 만들어진다. 이는 삼투현상 때문. 물이 달걀의 반투막을 통해 달걀 안으로 들어간다.

자료:'최병두의 화학교실'(chemmate.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