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주거환경개선사업 물건너 가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대전시 동구 대신·천동 등 5개 주거환경개선사업지역에 사는 주민 250여 명은 9일 오후 LH(한국토지주택공사)대전충남본부 앞에서 항의 집회를 열었다. 이날 집회는 LH대전충남본부가 재정난으로 2006년 주거환경개선사업구역으로 지정된 동구 5곳에 대해 사업중단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주민들은 “보상을 위한 지장물조사까지 해놓고 이제와서 사업성을 따지는 게 웬말이냐”며 “LH의 주거환경사업 잠정 보류로 주민들의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다”며 즉각적인 사업 재개를 요구했다.

LH대전충남본부가 재정난을 이유로 대전 동구 등 6개 지역 주거환경개선사업 중단을 예고하자 해당 지역 주민 250여 명이 ‘사업 재개’를 촉구하며 시위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대전시내 구도심을 중심으로 추진해 오던 주거환경 개선사업이 차질을 빚게 됐다.

18일 LH대전충남지역본부에 따르면 대전지역 6곳의 주거환경개선사업 중단을 예고했다. 사업 취소가 예정된 지역은 ▶대신2지구(1684가구) ▶천동3지구(2005가구) ▶대동2지구(1363가구) ▶효자지구(1532가구) ▶구성2지구(1410가구) ▶소제지구(4210가구) 다.

LH 관계자는 “개발이 끝난 토지와 미분양 아파트를 대폭 할인해 판매할 정도로 재정이 악화돼 계획했던 사업 추진은 어렵다”고 말했다.

따라서 해당 지방자치단체들이 민간재개발이나 현지개량방식 등의 대안으로 검토하고 있으나 실현성은 희박하다. 대덕구는 효자지구가 LH사업지구에서 제외될 경우 대안으로 민간개발을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경기가 극도로 침체된 상황에서 선뜻 민간개발사업자가 나설지는 의문이다. 현재 동구와 대덕구에 적체된 민간 미분양 물량은 6월말 기준 1646가구(동구642, 대덕구1004)로 대전 전체 미분양 3046가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사업성이 없다는 것이다.

동구는 중단 예고가 된 대신2 등 5곳에 대해 LH의 최종 발표를 기다려본다는 입장이지만 사업이 중단될 경우 신·증축 제한을 일부 해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민간 사업자의 참여가 없을 경우 아파트 대신 낙후된 도로정비, 주차장, 공원 등을 조성하는 현지개량식 주거환경사업도 검토하고 있으나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 실현성은 불투명하다.

대전시와 코레일이 2월부터 대전역 주변 주거환경개선을 위해 정동·소제동 일원 22만4710㎡에 추진한 호텔과 상업시설 등 복합시설 개발사업도 보류됐다.

경기침체 등으로 개발에 참여하려는 사업자가 없어 사업 타당성 조사 용역을 진행하기 어렵다는 게 중단 이유다. 이 사업은 갈수록 침체돼 가는 대전역 주변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대전역 증축과 함께 호텔, 컨벤션센터 등이 어우러진 통합복합시설로 개발할 계획이었다. 따라서 2014년 완공을 목표로 대전역사 증축만 우선 시행될 전망이다.

서형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