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상복합도 전매제한 검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정부가 주상복합건물에도 아파트처럼 분양권 전매 제한과 재당첨 금지 조치 등을 적용하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 이는 아파트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자, 주상복합건물로 청약이 몰리면서 과열현상을 빚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이와 함께 내년부터 주상복합건물 내의 상가·주거 면적간 비율 배분을 지방자치단체들이 각자 조례로 정할 수 있게 해 지자체의 판단에 따라 주상복합건물의 주거면적이 일정비율을 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현재 주상복합건물은 주거면적이 90%를 넘지 않으면 주택이 아닌 일반 건물로 분류돼 아파트에 적용되는 각종 까다로운 규제들을 피할 수 있게 돼있다.

건설교통부는 24일 지금까지는 건축법의 적용만 받아온 주상복합건물을 앞으로는 주택건설촉진법상 공동주택(아파트 등)에 포함해 관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주상복합건물이 주촉법에 포함되면 ▶주택 건설에 따른 사업승인을 받아야 되며▶투기과열지구에서는 분양권 전매가 제한되고▶최근 5년간 아파트 분양에 당첨된 적이 있거나 2주택 이상을 소유한 가구 등은 청약 1순위에서 배제된다. 또 학교·놀이터·도로 등 각종 기반시설도 아파트 기준으로 공급해야 한다.

주상복합건물은 그동안 시내 중심가나 상업지역의 공동화 현상을 막아준다는 명목으로 주촉법 적용대상에서 제외돼 왔다. 그러나 초기에 70% 이하로 제한되던 주거면적 비율이 외환위기 이후 주택경기 부양을 위해 90%까지 늘어나면서 사실상 아파트처럼 분양돼 왔다.

특히 주촉법에 따른 사업승인 없이 건축법에 따른 건축허가만으로 건설이 가능함에 따라 도로·놀이터 등 기반시설 설치 부담이 아파트보다 적은 반면, 상업지역 최대 용적률(9백∼1천5백%)을 적용받아 초고층으로 지어져왔다.

건교부 이춘희 주택도시국장은 "주상복합건물을 주촉법에 포함시킬지 아직 결정하지는 못한 상태"라며 "주상복합건물들의 청약 추이에 따라 최종 방침을 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내년부터 각 시·군이 조례로 주상복합건물의 주거면적비율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국토이용계획법 시행령이 바뀐다. 예컨대 지자체가 주거면적비율을 70%로 정할 경우 아파트 비율은 70% 이내로, 상가 등 근린시설 비율은 30% 이상으로 맞춰야 한다.

신혜경 전문기자

hksh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