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땅 시장 급속 냉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수도권 땅 시장이 휘청거리고 있다. 급매물이 많이 나오고 값도 내리고 있다. 토지 전문가들과 중개업계에서는 토지거래허가제(20일 시행) 때문이라고 입을 모은다.

주로 1천∼2천평 규모의 농지가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으나 거래 허가대상에서 제외되는 3백평 미만의 농지와 1백50평 미만의 대지 등도 덩달아 침체에 빠졌다.

양평군 서종면 문호리에 있는 한 전원주택지의 경우 지난달 평당 70만∼80만원이었으나 지금은 평당 50만원에 급매물로 나왔으나 매수세가 전혀 없다.

수질보전 강화 정책 탓도 크다. 한강 수계 1권역에 포함된 양평은 이제까지 주소만 옮겨놓아도 농지전용과 임야형질변경을 할 수 있었으나 내년부터는 반드시 1년을 거주해야 한다. 이런 이유로 땅 매수세가 끊겼다.

경기도 포천군 화현면 지현리에서 매물로 나온 대지 5백평짜리는 지난 여름 평당 25만원을 호가했으나 최근 일주일새 평당 18만원으로 내렸다. 김포시 양곡면 양촌리 2차선 도로에 붙은 땅의 경우 상반기에는 평당 70만∼80만원이었으나 지금은 평당 50만∼60만원에 나와도 사려는 사람이 없다.

이 밖에도 거래허가지역에 포함된 곳(수도권 67%) 대부분에서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토지 전문 중개업체인 돌공인 진명기 사장은 "안그래도 내년 경기가 좋지 않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당분간 약보합세를 보일 것"이라며 "그러나 수천평 규모의 공장·물류용지와 가평·여주·이천 등 토지거래허가지역에서 빠진 곳은 상대적으로 부각될 것"이라고 말했다.

황성근 기자

hsg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