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긴장완화 우선" 盧 "교류협력 먼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한나라당 이회창·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24일 북한 핵문제와 대북정책에 대한 각자의 입장을 내보였다. 둘 다 북한의 핵포기, 한반도 평화정착과 통일이란 궁극적 목표는 같았지만 방법론에서 엇갈렸다. 장관급 회담결과를 두고도 李후보는 "핵 해결 의지가 미흡했다"고 한 반면, 盧후보는 "평화적 해결을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이날 평화포럼(이사장 姜元龍) 초청 토론회에서다.

◇긴장완화·교류협력 병행론=李후보는 "군사적 긴장완화를 통해 진짜 평화, 공고한 평화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李후보는 또 북한 핵문제에 대해 단호한 대응을 요구했다. 북핵문제와 대북지원의 연계, 현금지원 중단 등을 주장했다. 하지만 그는 "인도적 지원이나 민간지원을 말한 게 아니다"라거나, "대화는 이런 때일수록 해야 한다"는 말도 덧붙였다.

-대북지원을 중단하면 북한과 교섭 지렛대를 잃는 것 아닌가.

"전혀 아무 일 없듯 교류 협력한다면 우리 스스로 지렛대를 치운 것과 같다."

-핵 개발이 없었다는 얘기도 있다.

"없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23일 청와대와 당국자에게서 설명들은 바에 따르면 그렇게 생각하기 어렵다. "

◇교류 협력 우선론=盧후보는 "북한과의 교류 협력을 통해 긴장을 해소하고 평화 분위기를 높여 군사적 신뢰단계로 발전하는 게 보통"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서해교전 등이 있더라도 본격적으로 의도된 정권차원의 도발이 아닌 이상 협력관계를 함부로 끊어선 안된다"고 했다.

북핵 문제에 대해 盧후보는 "무모한 짓"이라면서도 "한두가지 불이행이 있다고 거래 전체가 깨지는 건 아니다"라는 입장을 견지했다.

-신뢰우선 원칙은 뭔가.

"상대에 대한 불신을 전제로 너 약간 풀고, 나도 약간 푸는 식이면 남북관계는 하나도 풀 수 없다. 마피아들도 약속은 지킨다는 신뢰가 있으니 거래를 한다."

-핵 문제가 풀리지 않는 게 북한만의 책임인가.

"미국과 북한이 많은 문제를 제기하고 있어 사람마다 판단을 달리 할 것이다. 그렇지만 힘은 현실이다. 북한이 미국과 맞서려고 하지 않는 게 좋다."

강민석·고정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