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창호의 영화 풍경] 송일곤 감독의 '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깃'은 지난해 '거미숲'을 발표하며 주목받았던 신예 송일곤 감독의 멜로물이다. 자아가 분열되는 '도플갱어'의 복잡한 심리극을 만들었던 감독의 작품치고는 이번엔 아주 가벼운 사랑이야기다. 그런데 그 사랑이 담긴 '공간'을 묘사하는 솜씨는 예사롭지 않다. 제주도 옆의 작은 섬 우도에서 촬영했는데, 바람과 비와 그리고 밤 풍경이 인물들의 심리를 대신 설명하는 식이다. 대사가 아니라 공간이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다. 여기에다 영화학교 출신답게 감독은 '피아노'(감독 제인 캠피언)와 '달콤한 인생'(페데리코 펠리니) 같은 작품들의 이미지를 슬쩍 끌어 썼다.

별로 성공한 것 같지 않은 영화감독(장현성)이 세찬 바람을 맞으며 우도에 도착한다. 10년 후 다시 만나자는, 옛 애인과의 약간은 상투적인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다. 이곳에서 그는 애인 대신 탱고 춤을 전공하기를 꿈꾸는 앳된 여자(이소연)를 만난다.

'거미숲'에서 클래식 음악으로 심리극의 긴장을 조절했던 감독은 이번에는 탱고 리듬으로 두 남녀의 흥분을 묘사한다. 한두 악기로 연주되는 단순하고 느린 탱고부터 합주의 빠르고 경쾌한 탱고까지, 영화는 시종일관 탱고의 멋을 한껏 뽐내고 있다(음악감독 윤민화).

피아니스트인 옛 애인은 오지 않고, 대신 그녀의 분신 같은 피아노가 남자에게 배달된다. 여자가 돌아오지 않은 사실에 실망했는지, 남자는 피아노를 거들떠보지도 않고 해변의 들판 위에 팽개쳐 놓는다. 연주되지 않고 버림받은 채 덩그렇게 홀로 놓여 있는 피아노, 심지어 비를 맞고 있는 피아노에 다시 혼을 불어넣는 사람은 바로 우도의 앳된 여자다. 그녀가 피아노의 뚜껑을 열고 건반을 두드린다. 두 남녀의 관계 변화를 암시하는 순간이다.

바람 찬 우도의 빼어난 풍경을 배경으로 탱고와 피아노의 모티브를 이용해, '깃'은 가벼운 멜로 이상의 결과를 냈다. 그런데 "10년 뒤 같은 장소에서 만나자""1년 뒤 종묘에서 보자" 같은 약간은 유치한 이야기 설정과 소녀 취향의 멋쩍은 대사들이, 풍경과 음악이 끌어가고 있는 드라마의 긴장을 군데군데 훼손하는 건 옥에 티다.

한창호 영화평론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