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관련사업… 북측, 잇따라 제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 정동영 통일부 장관(左)과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右)이 개성공단에서 처음 생산된 주방기기 세트를 남측으로 갈 트럭에 싣고 있다. [중앙포토]

정부가 남북 협력을 위해 의욕적으로 추진해온 개성공단 관련 사업들이 북한 측의 잇따른 제동으로 삐걱거리고 있다. 개성공단 사업은 북측에서도 조속한 추진을 요구해온 터여서 이 같은 태도 변화의 배경이 주목된다.

통일부는 이달 중 북한 개성지역에 연탄 540만장(한국토지공사 지원 270만장 포함)을 지원하려던 계획이 북한 측의 연기 요청으로 차질이 생겼다고 12일 밝혔다. 통일부 관계자는 "당초 북한 측이 먼저 연탄을 보내달라고 했으나 북측은 최근 '연탄을 각 지역에 수송할 준비가 안 돼 있다'며 올 연말로 지원을 미뤄달라고 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북측은 지난 11일부터 이틀간 개성에서 가질 예정이던 통신공급 합의서 후속조치 협의도 당분간 연기하자고 알려왔다.

또 지난 10일엔 개성공단 병원 개원식에 참가하려던 'YMCA 그린닥터스' 회원들에게 초청장을 보내오지 않아 11일로 예정됐던 행사가 무산됐다.

통일부 관계자는 "개성 현지 분위기나 공장 가동 상황 등으로 볼 때 일련의 사태가 개성공단 사업에 대한 북한의 근본적 태도 변화 때문은 아니라고 판단한다"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북한대학원대학교 양문수 교수도 "북한의 대남전략 차원의 결정이라기보다는 내부 사정에 따른 일시적 문제로 여겨진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결코 간단한 사안이 아니라는 진단도 나온다. 한 정부 관계자는 "개성 지역의 경우 군부의 '입김'이 센 지역이기 때문에 대남 사업이라도 예상치 않은 제동이 걸릴 수 있으며 연탄 지원의 경우가 그럴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개성공단 사업에 대해 북한이 '내실있는 사업 진척'을 줄곧 주장하면서 남측의 '이벤트성' 접근을 못마땅하게 여겨왔다는 지적도 나온다. 통일부 관계자는 "아직 북측의 정확한 의도를 알지 못해 다각도로 정보를 수집 중"이라고 말했다.

강주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