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철도·도로 연결] 공사에서 운행까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남북간에 끊어진 철도와 도로를 연결하는 공사가 시작됐다. 우리 측은 이번 연결 사업이 비무장 지대에서 이뤄지는 특수성 때문에 군과 민간 건설업체가 역할을 나눠 공사를 진행하게 된다.

철도와 도로 모두 1.8㎞만을 남겨두고 있는 경의선의 경우 군 공병대가 지뢰 제거와 노반공사를 맡고 궤도 부설과 전기시설 등 나머지 작업은 현대·삼성·대우 등 6개 건설사로 구성된 민간 컨소시엄이 담당한다. 소요 예산은 5백90억원 정도다.

또 철도 9㎞와 도로 4.2㎞를 건설하게 될 동해선의 경우도 군과 현대 아산재단 등 민간 건설업체가 역할을 나눠 진행하게 된다. 철도에 7백48억원, 도로에 6백74억원이 투입된다.

우리 측은 이번 공사에 패스트 트랙(Fast Track)공법을 사용한다. 이 공법은 설계를 모두 끝낸 뒤 시공하는 기존 공법과 달리 구간별로 설계와 시공을 번갈아하는 방식으로 공사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북한 측은 군부대가 대거 동원될 것으로 보인다. 북측은 군부대를 동원하면 12㎞ 정도는 3개월이면 완공할 수 있다고 호언장담해 왔다.

예정대로 공사가 진행돼 남북간 철도와 도로가 연결되면 남북 교류 방식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우선 철도의 경우 그동안 항공이나 해상운송에 의존해왔던 남북간 인적·물적 교류의 상당수를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경의선의 경우 현재 논의가 진행 중인 개성공단 건설과 관련, 각종 물자와 인력을 실어나르는 데 매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또 동해선 철도는 단기적으로는 금강산 관광에 이용이 가능하고 장기적으로는 8, 9년 뒤 우리 측이 건설 중인 동해북부선과 중부선 공사가 완공되면 남북간 물자 수송로로도 큰 역할을 할 전망이다. 동해 임시도로가 올 11월 완공되면 육로를 통한 금강산 관광도 시작된다.

그러나 이러한 교류를 위해서는 남북간에 열차 운행 절차에 대한 협약이 체결돼야 한다. 정부는 앞으로 열릴 남북간 철도 관련 협의에서 이 문제를 논의할 계획이다.

교통개발연구원 안병민 박사는 "양측 간에 서로 다른 신호체계 등 운영방식과 기술차이 극복 방안도 중요한 과제"라며 "장기적으로는 시베리아 횡단철도나 중국 횡단철도 등과의 연결에 대비한 경제·외교적 분석과 대비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강갑생 기자

kksk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