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취재일기

대학생이 MB에 바라는 건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다른 건 몰라도 경제 하나만큼은 살릴 줄 알았죠. 대학생에게 경제가 뭐겠습니까. 청년 백수 100만 명 시대에 번듯한 일자리 하나 마련해 주는 것 아니겠어요?”

이명박 대통령이 2007년 12월 대선에서 530만 표 차로 압승한 데는 젊은 층의 지지가 한몫했다. 이들이 MB를 지지한 이유는 ‘경제 대통령’에 대한 기대감이었다. 그리고 후배가 털어놓은 것처럼 대학생에게 ‘경제는 곧 일자리’였을 터다. 하지만 청년 취업난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28일 삼성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청년(15~29세) 체감실업률(실업자·취업준비생·주당 근로시간이 36시간에 못 미치는 취업자 등을 포함한 실업률)은 23%(116만2000명)에 달했다.

올해는 경기가 회복돼 취업 여건이 조금씩 나아진다지만, 많은 젊은이가 현장에서 느끼는 취업난은 여전히 심각하다. 최근 이 대통령이 연일 “일자리 문제에 (대기업이)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압박에 나선 것은 그런 사정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취업난이 해결될 것으로 믿는 젊은이들은 많지 않은 것 같다. 신씨는 “정부가 압박하면 대기업들이 눈치를 보다 고용을 늘릴 수는 있겠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일자리가 늘어나려면 기업을 다그쳐 힘을 빼기보다는 일자리를 늘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선순환을 유도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게 그의 주장이었다.

예를 들어 ‘일자리 창출 우수기업 인증제’ 같은 제도가 취업난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일자리 창출 실적이 우수한 중소기업에 세금을 감면해 주고, 세무조사를 유예해 주는 등 정부가 정책적으로 지원하겠다는 것이 이 제도의 골자다. 아울러 기업들이 해외로 나가기보다 국내에 머무를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는 게 일자리를 지키는 지름길이다. 신씨는 기업인들이 신명 나게 일하고, 사업이 번창해 젊은이들도 많이 뽑는 ‘신나는 대한민국’을 꿈꾸고 있는 것이다. 그는 취업 때문에 졸업을 연기하다 결국 올 2월 졸업했다. 여전히 일자리를 찾고 있다.

김기환 경제부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