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선 착공·쌀 지원'빅딜'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남북간 핵심 쟁점이던 경의선(京義線)철도·도로연결의 착공시기가 '추석(9월 21일) 이전'으로 의견이 모아지면서 경협추진위원회 제2차 회의가 28일 첫 접촉부터 속도가 붙고 있다.

이미 지난 14일 끝난 7차 장관급회담에서 '경의선 및 동해선의 철도·도로 연결 공사와 관련, 남북이 동시에 병행시켜 착공한다'는 데 합의하고 날짜를 경추위에서 확정키로 한 만큼 관심은 언제 북측 구간 공사의 첫 삽을 뜰 수 있느냐였다. 2000년 9월 착공한 경의선 공사는 비무장지대(DMZ) 1.8㎞를 제외한 남측 구간 공사가 완료된 상태.

남측은 지뢰제거를 포함해 북측 구간 공사에 3개월 가량 걸리는 점을 감안해 늦어도 추석 이전에 착공해야 연내 완공할 수 있다는 점을 북측에 강조해왔고, 북측도 첫 전체회의에서 원칙적으로 동의했다는 게 정부 당국자의 설명이다.

하지만 군사실무 접촉 등 기술적인 문제를 둘러싸고 이견이 남아 있어 최종적인 합의에 진통이 있을 수 있다. DMZ구간 공사에 필요한 '철도와 도로작업의 군사적 보장을 위한 합의서'(전문과 총 6장)는 양측 국방장관이 서명까지 했으나 2000년 2월 북측의 거부로 교환되지 못해 걸림돌로 남아 있다.

회담 관계자는 "군사보장 합의서 발효를 위한 군사실무접촉에 대해 북측이 어떤 입장을 취할지가 이번 회담의 관전 포인트"라고 귀띔했다.

특히 북측은 이번 회담에서 경의선 착공 날짜를 박아주는 대신 식량과 비료 등 대북지원을 최대한 이끌어 내려 시도할 것으로 예상돼 어떤 수순으로 이를 풀어갈지 주목된다. 남측은 철도 복원 일정을 확정하지 않고서는 대북지원 약속을 해줄 수 없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다른 회담 관계자는 "북측은 29일 오전 열릴 두번째 전체회의 이후 대북지원과 관련한 요청을 구체적으로 해올 것으로 보인다"면서 "우리측이 제시한 다음달 중순 착공 일정에 결국 호응해 오겠지만 지원물량 확보를 위해 버티기 작전을 구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합의가 순조로울 경우 30만t 규모의 정부 보유쌀은 물론 10만t 수준의 비료를 북한에 줄 수 있다는 방침이다. 또 2000년 2월 전력협력실무협의회 이후 중단된 50만㎾ 규모의 대북 전력지원 문제도 현지 실태조사 등을 거쳐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이번 회담은 양측이 위원장 단독 접촉 등을 통해 주고받을 목록에 대해 은밀한 얘기를 나누고 평양측으로부터 북한의 최종 입장이 회담장에 도달할 29일 오후가 합의 타결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