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동 교육평가원장 사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한국근현대사 검정교과서 편향 기술과 관련한 교육인적자원부의 내부 대책문건을 야당에 유출한 혐의를 받고 있는 김성동(金成東)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사진·본지 8월 26일자 29면)이 26일 사퇴했다.

정부 전문기관의 공모직 대표가 중도에 그만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검정 역사교과서 문제로 심기가 상한 청와대 측은 경찰청 특수수사대에 수사를 지시했고, 압박을 느낀 金원장은 결국 스스로 옷을 벗고 말았다.

경찰은 金원장의 비리 여부를 계속 수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金원장은 임기를 1년4개월 남겨두고 있다. 공모를 통해 임명되는 평가원장은 3년 임기가 보장되나, 金원장은 정부 대책문건 유출과 관련해 국무총리실 조사에 이어 경찰이 수사를 벌이자 '의원면직' 형식으로 물러났다.

평가원 일부 임직원들은 金원장이 표적수사에 의해 사표를 강요당했다며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특히 청와대까지 나서 '수사'라는 강경한 수단을 동원한 것은 도가 지나쳤다는 주장이다.

평가원의 한 간부는 "경찰 수사관이 평가원 직원을 조사하면서 원장이 사표를 내지 않을 경우 많은 사람이 다친다며 원장에게 사표를 내라고 조언하라고까지 말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경찰청은 이날 "지난 6일 청와대 민정수석실로부터 金원장에 대한 공무상 비밀 누설 및 개인 비리와 관련한 첩보를 이첩받아 특수수사과에서 수사를 진행해 왔다"고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金원장은 교과서 편향 기술과 관련한 교육부의 진상보고서를 입수한 뒤 이 보고서에 심사위원 구성 내용 등을 추가로 적어 팩스로 외부에 유출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이러한 행위가 공무상 비밀누설죄에 해당하는지 등에 대한 법률 검토를 거쳐 사법처리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와 별도로 평가원의 연구직 채용 과정에서 부정이 있었다는 첩보에 대해서도 수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남중·강주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