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 大選 여론조사참여 교수팀 분석]유권자의 지지후보 교체 가능성 李-29%,盧-39%,鄭-46%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올해 한국 대선 정국의 큰 특징은 지지후보를 바꿀 수 있다거나, 지지후보를 정하지 않았다는 부동층의 비중이 매우 크다는 사실이다. 노무현(武鉉)후보의 급속한 지지율 상승과 하락, 월드컵 이후 정몽준(鄭夢準)의원의 급부상이 그같은 현상의 증거다. 중앙일보가 동아시아 연구원(EAI·원장 김병국 고려대 교수)과 공동으로 실시한 8월 여론조사(12일자 1,4면)에서도 지지후보를 바꿀 가능성이 있는 부동층의 비율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대선 경쟁의 유동성과 불확실성이 매우 높다는 점이 확인된 것이다.

◇지지후보 교체 의사=전체 응답자의 62%는 지지후보를 교체할 의사가 없고,37% 정도가 지지후보를 교체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선이 4개월 남짓 남은 상황에서 37%의 응답자가 지지후보 교체 의사를 밝힌 것은 대선 경쟁의 유동성과 불확실성이 상당히 남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별로 광주·전라, 서울, 강원 지역 유권자들의 교체 가능성이 크게 나타난 반면 부산·경남과 대구·경북 유권자들의 교체 가능성은 작게 나타났다.

지지정당별로는 한나라당·자민련 지지자들에 비해 민주당 지지자들의 교체의사가 높았다.

또 지지후보별로는 이회창(會昌)후보 지지자들의 교체 가능성이 29%로 노무현 (39%)후보·정몽준(46%) 의원 지지자들의 교체 가능성보다 작게 나타났다.

이는 후보에 비해 후보와 鄭의원의 지지기반이 견고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鄭 지지자들은 민주당 내의 신당 창당 논의 결과에 따라 지지후보를 바꿀 의사가 있음을 시사한 것이기도 하다.

◇바람직한 민주당 정계개편안=민주당 내 정계개편안과 관련, 후보를 중심으로 민주당 유지(33.1%), 후보 중심의 신당 창당(14%), 민주당을 유지하고 새 인물 영입해 후보와 경선(21.1%), 신당 창당 후 새 후보를 선출하거나 영입(18.4%), 모름·무응답(13.4%) 등의 의견이 나타났다.

국민경선에 의해 선출된 후보의 교체를 반대하는 명분론(47%)과 재집권을 위해 후보의 교체를 포함한 정계개편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현실론(40%)이 공존하고 있다.

이회창-노무현 양자 구도를 유지할 경우 대선에서의 승산은 불확실하지만, 후보를 교체하는 정계개편은 국민적 명분이 약하다는 민주당의 딜레마를 확인시켜준다.

또한 ·鄭 연대의 신당이 결성되면 후보를 이길 수 있는 희망이 생기지만, 두 사람 모두 자신이 후보가 되지 않으면 신당에 참여할 가능성이 매우 작다는 점도 또 다른 현실적 딜레마다.

<공동참여 교수>

강원택(숭실대·정치학)

김주환(연세대·언론학)

이내영(고려대·정치학)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