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업씨 불명예제대 사면 의혹"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한나라당이 김대업씨와 그 주변을 철저히 파헤치고 있다. 金씨의 발언으로 야기된 '신병풍'을 무력화하기 위해서다.

당 '김대업 정치공작 진상조사단'(단장 在五)은 7일 기자회견에서 金씨의 병역 비리 전력, 민주당 천용택(千容)의원 등 정권 실세와의 관계, 김태정(金泰政)전 검찰총장·박영관(朴榮琯)서울지검 특수1부장 등 검찰과의 관련성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한마디로 "현 정권과 민주당이 金씨 뒤를 봐주는 대가로 공작을 사주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주장이다.

홍준표(洪準杓)제1정조위원장은 "1987년 金씨가 의무부사관 때 공문서 48건을 위조, 실형을 선고받고 이등병으로 제대했다"며 "98년 千의원이 국방부 장관이었을 때 이를 사면·복권했다는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국방부 관계자는 "88년 병역법 개정으로 원상회복된 것으로 안다"며 "12·12사태 때 불명예 제대한 정승화(鄭昇和)전 계엄사령관 등도 이때 원상회복 조치됐다"고 말했다.

의원은 "98년 千의원이 국방부 장관·국가정보원장으로 재임 중 김태정 검찰총장과 협의해 병역 비리에 연루된 金씨를 면책해 주는 조건으로 별도의 병역 비리 전담 수사팀에 합류토록 했다"고 주장했다.

황준동(黃俊東)부대변인도 "99년 8월 기무사 참모장이 당시 박주선(朴柱宣·민주당 의원)청와대 법무비서관을 찾아가 金씨의 전과와 비위 사실을 알리며 구속을 건의했지만 묵살당했다"고 지적했다.

한나라당은 또 "金씨가 2000년 4월 이후 아파트 구입, 자동차 교체, 한식당 개업 등 재산을 불렸고, 기관원을 사칭하고 씀씀이가 헤펐다"며 정권 차원의 金씨 비호 의혹을 제기했다. 이와 관련, 金씨는 "한나라당이 증거 제시 없이 중상모략하고 있다"며 일부 의원과 당직자를 고소했다.

고정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