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張서리인사청문회]능력 검증보다 도덕성에 초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장상(張裳)국무총리서리에 대한 이틀간의 인사청문회가 30일 끝났다.

이번 청문회에서는 세차례의 위장전입과 이에 따른 부동산 투기 의혹을 새롭게 밝혀냈다.

그러나 정치권의 평가는 인색하다. 청문회 위원들의 질문이 張총리서리의 국정수행 능력보다 개인의 도덕성 따지기에 흘렀다는 게 그 이유다.

한나라당 심재철(在哲)의원이 제기한 위장전입 문제는 張총리서리에 대한 '준법의식' 결여 시비와 함께 부동산 투기 의혹을 불렀다. 이미 장남 국적 시비, 영주권 문제, 아파트 불법개조 논란 등이 제기된 상태여서 도덕성에 큰 상처를 냈다.

특히 시모(媤母)가 재산관리를 모두 책임지고 처리, 주민등록 이전 사실을 본인은 몰랐다는 張총리서리의 답변에 대해서는 논란이 적지 않다. 시모가 90세를 넘은 것으로 알려져 위장전입이 이뤄진 1980년대에도 이미 칠십이 넘는 고령이었다. 그런 연령에 張총리서리 부부를 제쳐두고 주민등록 이전을 주도했다는 건 쉽게 수긍키 어려운 대목이기 때문이다.

허위학력 시비도 "조교와 제자들의 착오로 이뤄진 것"으로 이 역시 본인은 전혀 몰랐다고 주장해 책임전가에 급급하다는 질책을 각당 의원들로부터 받았다.

이와 관련, 한나라당 허태열(許泰)의원은 "전체적으로 張총리서리가 자기관리에 허술했다는 점이 청문회를 통해 좀 더 부각된 느낌"이라고 평했다.

공격적인 초점 피하기로 나간 張총리서리의 답변 태도에 대해 거부감을 표시하는 의원들도 많았다.

이처럼 도덕성 검증에 치중하는 바람에 외교와 국방 등 국정 전반을 책임져야 할 총리로서의 자질 검증은 피상적으로 흘렀다는 지적이다. 심지어 한 의원은 "본인의 장점을 스스로 말해보라"고 할 정도로 張총리서리를 감싸고 돌아 청문회의 실효성 논란을 부르기도 했다.

장남의 한국 국적 포기문제 등 개별적인 사안에 대해서도 시원한 답을 얻지 못해 의혹의 불씨를 남겼다. 청문회 증인으로 참석한 법무부 관계자가 "법적인 제재를 가할 상황은 아니었다"고 증언했다.

張총리서리의 "77년 당시 이중국적을 정리하지 않으면 불이익을 받는다는 통보를 받아 불가피하게 국적을 정리할 수밖에 없었다"는 주장의 설득력이 약해진다.

또 학력오기 논란도 여전히 석연치 않다. 張총리서리는 청문회에서 언론사 인명록 제출 서류에 자필서명했다고 인정했다. 張총리서리는 그동안 "비서가 사인을 해서 보내 잘 모른다"고 말해왔다.

남정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