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면파출소 운영 확 바뀐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읍·면 등 지방의 소규모 파출소들의 운영 체계가 대폭 바뀐다.

경찰청은 오는 9월부터 지방에 '중심 파출소 제도'를 새로 도입해 읍·면의 소규모 파출소 3~4곳의 인력과 총기·순찰차 등을 이 중 한곳에 집중시키는 대신 나머지 파출소에는 한명의 근무자만 두는 '분소' 형태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경찰청 관계자는 "새로운 파출소 운영 체계와 관련해 일선 직원들의 의견을 수렴하라는 공문을 27일 전국 지방경찰청장에게 보냈다"면서 "그 결과에 따라 세부 사항들을 결정해 9월부터 시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전국 2천9백30곳의 파출소 가운데 경찰관 수가 9명 이하인 9백57곳의 파출소가 중심 파출소와 분소 형태로 재편될 전망이다.

중심 파출소로 지정되는 곳은 주변 파출소에서 근무하는 경찰관과 총기·순찰차 등을 인수, 경찰관 16명 이상 규모로 확대되며 나머지 파출소들은 경찰관 한명이 가스총을 소지하고 상주하면서 주민들의 민원 등을 처리하는 '분소'로 운영된다. 대신 중심 파출소가 분소 지역까지 기동 순찰을 맡으며 분소 지역에서 사건·사고가 생기면 중심 파출소의 경찰관들이 긴급 출동한다.

경찰이 이처럼 지방 파출소 운영 체계의 대수술에 나선 것은 경찰관들의 근로조건 개선을 위해 지난해 4월 '3교대 근무제'를 도입한 뒤 소규모 지방 파출소의 경우 근무 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계속됐기 때문이다.

경찰은 현재의 체제에선 인력 부족으로 ▶총기 탈취 등 파출소 대상 범죄 발생 우려가 높고▶2인1조 순찰을 할 수 없으며▶112 신고를 받아도 제때 출동하기가 어렵다고 밝혔다.

강주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